호산구수치증가에대해궁금합니다?
호산구수치가높다는데정보좀공유하고싶어서요.ㅠㅠ 네이버읽어보니 무서운말들도많아서 정확한 정보 공유차 가입했어요. 정보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호산구 수치가 높은 경우, 다양한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호산구는 특정 종류의 백혈구로, 주로 알레르기 반응이나 기생충 감염에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알레르기 반응: 호산구 수치가 높아지는 가장 흔한 원인은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특정 음식이나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기생충 감염: 특히 장내 기생충이나 기타 기생충 감염의 경우, 호산구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 질환: 일부 자가면역 질환에서도 호산구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기타 질환: 호산구성 식도염, 일부 혈액 질환, 피부 질환 등도 호산구 수치가 높아질 수 있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호산구 수치가 높은 경우, 증상과 병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내과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원인 진단을 위해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호산구 수치 증가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알레르기가 있습니다.
알레르기는 흔한 질환 중에 하나로 알레르기가 있을 때 면역 반응으로 인해
serum IgE 와 함께 호산구가 증가하게 됩니다. 그 외에 드물게 호산구 증가를
보이는 기생충 감염이나 백혈병이 있지만 이는 드문 것이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하는 말은 알레르기가 있으면 상승한다고 하고
기생충질환이 있으면 상승한다고 합니다
변동이 심한 혈액검사이기 때문에 재검사를 하시면 대부분 정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교과서 적으로는 백혈구 (곱하기) 호산구분율 = 1500 을 넘어서면 정밀검사가 필요하다고 하며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호산구 분율이 20%를 넘게 되면 정밀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호산구 증가증(호산구 증가, 호산구증가증후군)은 호산구 수치가 증가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호산구는 과립구의 한 유형으로, 주로 기생충 감염 및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된 면역 반응에 참여합니다. 호산구의 정상 수치는 말초 혈액 총 과립구 중 3-5% 이하에 해당하며, 절대 수치는 400-500/mm³ 이하입니다. 일반적으로 말초 혈액 검사에서 호산구가 450~500cell/uL 이상인 경우 호산구 증가증으로 판단됩니다.
호산구 증가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기생충 감염, 알레르기, 약물 등이 있습니다.
알레르기 질환(예: 아토피, 아토피 관련 질환)과 관련된 호산구 증가증, 감염성 질환(예: 기생충 감염, 특이 진균 감염)에 의한 호산구 증가증, 혈액 및 종양 질환(예: 과호산구 증후군, 백혈병, 림프종)과 관련된 호산구 증가증, 특정 장기 침범 질환(예: 피부, 피하 질환, 폐 질환, 신경 질환, 류마티스성 질환, 심장 질환, 신장 질환), 면역 반응(특정 면역 결핍 질환,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내분비 질환(예: 부신 기능 저하증) 및 기타 원인(죽상색전병, 유전 등)으로 호산구 증가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호산구 증가증은 종종 아무런 증상 없이 정기적인 검진에서 발견되기도 하지만, 특발성 호산구 증가증의 경우에는 피로, 체중 감소, 발열과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요 장기 침범이 발생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장 손상이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나타나며, 판막 손상, 심내막 심장 섬유증, 제한성 심근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계(혈전에 의한 색전증, 미만성 뇌병증, 말초 신경병증), 피부, 간, 소화기, 호흡기 계통과 관련된 합병증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호산구 증가증의 진단은 말초 혈액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호산구가 정상 수치보다 높아(450~500cell/uL 이상) 호산구 증가증으로 진단됩니다. 추가적으로 혈액 도말의 세포 형태학적 검사, 여행 경험의 확인 등이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기생충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변 검사와 간디스토마, 폐디스토마 등 흔한 기생충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ELISA test)를 수행합니다. 다른 전신성 질환을 의심할 때는 복부 초음파 검사, 흉부 단순 X-선 촬영, 심 초음파 검사와 같은 영상 진단 검사를 사용합니다. 약물 반응이 의심되면 해당 약물 사용을 중단하고 12개월 후 재검사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호산구 증가증에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2차적 호산구 증가를 배제하기 위해 피부 질환, 교원성 질환, 면역 결핍 질환, 내분비 질환 등 다방면으로 검사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