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라는 왜 열권에서만 나오나요?
오로라가 나타나는 지역을 보면 대부분 극지방의 열권에서 발생하는데 이렇게 열권에서만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국내에서는 볼 수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극지방쪽으로 갈수록 자기층이 얇게 형성되기 때문
태양에서 방출된 플라스마의 일부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 분자와 반응하여 빛을 내는 현상입니다. 하늘은 늘 태양풍에 노출되어 있는데,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자기장으로 인해 대부분의 태양풍은 자기권 밖으로 흩어지지요.
그런데 지구의 자기권은 극지방으로 갈수록 구부러지는 형태여서 극지방에서는 자기층이 엷게 형성됩니다. 바로 이 엷은 층에 태양풍이 스며들게 됩니다. 이때 태양풍 입자들과 대기 속의 공기 분자가 충돌하면서 오로라가 생기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오로라는 거대한 커튼 모양으로 하늘을 가로질러 출렁이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주로 위도 65~70° 사이에서 나타나며 지표로부터 65~100㎞ 사이에서 많이 나타나지요. 오로라는 녹색 혹은 황록색이 가장 많이 보이지만 때때로 적색, 황색, 청색, 보라색을 띠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