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은퇴자산의 법칙이라는 25배의 법칙이 뭔가요?

많은 분들이 열심히 투자와 저축을 하면서 경제적 자유를 이룩해 빨리 은퇴하고 싶어합니다. 여기서 은퇴자산의 법칙이라는 25배의 법칙이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은퇴 후 1년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금의 25배를 모아두면 4% 배당이나 이자를 받는 상품에

      투자만 해놓고 매년 4% 찾아서 사용하게 되면 노후걱정 없이 살 수 있다는 법칙입니다.

    • 만약 1년에 3천만원의 자금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현금으로 7억5천만원을 갖고 있거나

      투자가 되어 있다면 4% 수익률만 올리면 평생 먹고살 걱정이 없다는 이론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25배의 법칙이란 1년을 살기 위한 금액의 25배를 마련해야 조기 은퇴가 가능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년 생활비로 3000만 원을 가정하면 그 25배인 7억 5000만 원의 종잣돈이 필요한 것을 말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5배의 법칙’이란 은퇴 후 첫 해 생활비의 25배에 해당하는 금액이 평생 필요한 노후자금이란 얘기입니다. 예컨대 은퇴 첫 해에 매달 200만원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은퇴 후 첫 해의 연 생활비 2400만원의 25배인 6억원이 노후자금으로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필요 자금 규모를 예상하면 노후자금을 모으기 위한 기간과 매년 적립할 금액 그리고 목표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필요 노후자금이 6억원으로 산정됐고, 이미 목돈 1억원을 모은 상황에서 은퇴까지 투자할 수 있는 기간은 20년 남았는데 매월 80만원을 더 넣을 수 있다면 앞으로 매년 5%의 기대수익률이 나오는 투자를 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소비규모의 25배를 자산으로 모았다면 은퇴가 가능하다는 이론입니다. 예로 내가 월에 200만원을 소비한다면 연을 기준으로 2,400만원을 소비하는 것입니다. 이의 25배는 6억이죠. 즉, 6억을 모았다면 은퇴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기백 경제전문가입니다.

    25배의 법칙은 은퇴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재정 원칙입니다. 이 법칙은 재정적 독립을 이루고 조기 은퇴를 목표로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4% 룰"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25배의 법칙은 은퇴 시점에 필요한 총 자산을 계산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여, 은퇴 후 일정 수준의 생활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25배의 법칙 개요

    25배의 법칙은 기본적으로 은퇴 후 매년 필요한 생활비의 25배를 은퇴 자산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는 매년 필요한 생활비의 4%를 은퇴 자산에서 인출하면서도 자산이 고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된 방법입니다. 이 법칙은 은퇴 자산이 일정 수준의 투자 수익을 창출한다고 가정하며,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과 생활비 상승에도 대응할 수 있습니다.

    25배의 법칙 계산 방법

    25배의 법칙을 적용하여 은퇴 자산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매년 필요한 생활비 계산: 먼저 은퇴 후 매년 필요한 생활비를 계산해야 합니다. 이는 주거비, 식비, 의료비, 여가비 등 모든 생활비를 포함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매년 5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가정합니다.

    2. 25배 계산: 매년 필요한 생활비를 계산한 후, 이를 25배로 곱합니다. 이는 은퇴 후 자산이 25년 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계산입니다.

      5만달러×25=125만달러5만 달러 \times 25 = 125만 달러5만달러×25=125만달러

    3. 필요한 은퇴 자산: 위 계산에 따르면, 매년 5만 달러의 생활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25만 달러의 은퇴 자산이 필요합니다. 이 금액을 마련하면, 은퇴 후 매년 자산의 4%를 인출하면서도 자산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4% 룰과의 관계

    25배의 법칙은 4% 룰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4% 룰은 은퇴 후 첫 해에 전체 자산의 4%를 인출하고, 이후 매년 인플레이션에 맞춰 인출 금액을 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룰은 여러 연구에 기반하여, 자산이 최소 30년 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4% 룰을 적용하면, 25배의 법칙에 따라 계산된 자산이 은퇴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25배의 법칙의 장점
    1. 단순하고 직관적: 25배의 법칙은 계산이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필요한 생활비를 곱하기 25만 하면 되므로,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재정 계획 수립에 유용: 이 법칙은 은퇴 계획을 세우는 데 유용합니다. 목표 자산 규모를 명확히 알고 있으면, 현재 자산과 비교하여 추가로 필요한 저축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3. 심리적 안정 제공: 필요한 자산 규모를 미리 알고 준비하면, 은퇴 후 재정적 불안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은퇴 후 생활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25배의 법칙의 한계
    1. 변동성: 주식 시장의 변동성과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투자 수익률이 예상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자산이 예상보다 빨리 소진될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2.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높아지면, 생활비가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출 금액을 증가시켜 자산 소진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3. 개인 차이: 모든 사람의 생활비와 재정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25배의 법칙이 모든 경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 생활 방식, 예기치 않은 지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25배의 법칙은 은퇴 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유용한 재정 원칙입니다. 이는 매년 필요한 생활비의 25배를 은퇴 자산으로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매년 자산의 4%를 인출하면서도 자산이 고갈되지 않도록 합니다. 25배의 법칙은 계산이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재정 계획 수립에 유용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시장 변동성과 인플레이션, 개인 차이 등을 고려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25배의 법칙, 또는 "25배 규칙,"은 은퇴 자산을 계획할 때 사용하는 간단한 계산법입니다. 이 규칙은 은퇴 후 매년 필요로 하는 생활비의 25배를 은퇴 자산으로 모아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이 규칙은 4% 인출 규칙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연간 인출률을 4%로 설정하면 은퇴 자산이 지속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가정에서 나온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은퇴 후 매년 4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25배의 법칙에 따라 100만 달러(4만 달러 x 25)의 은퇴 자산을 모아야 합니다. 이는 4% 인출 규칙을 따를 때 연간 4만 달러(100만 달러 x 0.04)를 인출할 수 있어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다는 계산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25배의 법칙은 노후에 필요한 1년 치 생활비의 25배를 은퇴자금으로 모으는 것을 말하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5배의 법칙이란 보통 파이어족 등을 함에 있어서 나의 연생활비의 25배의 자산을 만들고 투자를 해놓은 상태에서 연 4%씩 인출할 경우 원금 소진 가능성이 없는 것을 말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퇴자산의 법칙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은퇴 시 필요한 자산을 말합니다. 이 법칙은 은퇴 시 월 생활비용의 25배에 해당하는 자산을 보유해야 안정적인 은퇴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는 원칙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매월 100만원이 필요하다면 은퇴 자산은 2억 5천만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퇴자산 25배의 법칙이란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금 지출하고 있는 연 소비 규모의 25배를 축척해놓았다면

    은퇴를 해도 무리가 없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5배의 법칙이란 

    바로 현재 시점에서 지출하고 있는 연 소비 규모의 25배를 자산으로 가지고 있으면 은퇴해도 된다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보자면, 연 소비가 1000만원이라고 하면, 25배인 2억5천을 가지고 있으면 은퇴해도 된다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강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퇴자산의 법칙이라는 25배의 법칙은 주로 재정 자유를 위한 투자 전략에 관한 이론입니다.

    이 법칙은 은퇴 시점에 필요한 연간 생활비충당하기 위해 투자해야 할 자산 규모를 결정하는 규칙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은퇴 시점에 매년 필요한 생활비의 4%를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당 자산의 25배 금액을 보유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매년 필요한 생활비가 1억 원이라면, 은퇴 시점에는 1억 원 × 25배 = 25억 원의 자산을 보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금액을 투자 수익률을 고려했을 때, 매년 4%를 인출해도 자산이 소진되지 않도설계됩니할 수 있다는 법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