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과연행복할수있을까요

무역 정부부서 입장에서 한미 8월 관세유예 조건은요

7월 말 한미 무역 고위급 협상 예정이라고 하는데, 우리 무역 정부 부서에서는 8월 1일 유예 종료 시 관세리스크시장전략을 어떻게 계획해야 할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지금 분위기만 보면, 8월 1일 관세 유예 종료는 현실화 가능성이 꽤 높아 보입니다. 미국 내 정치일정도 그렇고, 대선 앞둔 보호무역 강화 흐름이 워낙 뚜렷해서, 한국 측 유예 연장 요청에 호의적일 거란 기대는 낮습니다. 정부 입장에서는 고위급 협상에서 ‘즉시 관세 부과 대신 ‘단계적 적용이나 ‘품목별 유연 대응을 목표로 협상 지렛대를 마련해야 할 상황입니다. 내부적으로는 관세부담 확대 시뮬레이션을 산업별로 다층적으로 준비하고, 대체시장 확보, 수출입 조정, 원가 전가 방지 조치 같은 전략도 병행돼야 합니다. 단순히 연장 기대만 하기엔 리스크가 너무 커서, 국표원이나 산업부 중심으로 빠르게 컨틴전시 플랜 돌리는 게 실무적으론 더 현실적인 대응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이번 한미 무역 고위급 협상에서 8월 1일 유예 종료가 현실화될 경우 특정 품목의 관세 인상이나 비관세 장벽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정부 부서는 기업별 피해 규모와 대체 시장 확보 가능성을 신속히 분석하고, 세이프가드나 긴급 협의 채널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FTA 활용률 제고, 원산지 검증 강화, 해외 대체 공급망 확보 지원 등을 병행해 기업이 단기적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는 전략이 요구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 현재 한국 정부는 사절단을 파견하여 최대한 협상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으나 협상내용은 비밀로 붙여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협상이 타결되기 전까지는 명확하게 알 수가 없으며, 현재로서는 이러한 협상이 계속되고 있기에 상호관세를 일부 유예해주지 않을까 희망을 가지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게 없는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