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감동스러운알알이51
감동스러운알알이51

칭찬이 아이를 자만하게 만들지는 않을까 걱정이 돼요

아이를 자주 칭찬해 주려고 하는데 칭찬이 오히려 아이를 자만하게 만들지는 않을까 걱정이 돼요.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칭찬을 어떻게 해줘야 자칫 아이가 자만하지 않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지 고민이네요. 칭찬을 어떤식으로 하는것이 좋을지요? 칭찬 전략을 어케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과도한 칭찬은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칭찬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또한 구체적으로 칭찬해줘야 합니다.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고, 아이의 존재의 소중함을 칭찬해주십시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칭찬을 하는 것은 자아 존중감과 자신감을 키워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자만하거나 과도한 칭찬이 오히려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으로 칭찬을 해야 합니다. 아이를 칭찬할 때,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어떤 과정을 통해 노력했는지에 대해 칭찬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이는 아이가 자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력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합니다. 칭찬은 아이의 자아 존중감과 자신감을 키우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자만을 피하기 위해서는 과정 중심의 칭찬, 구체적이고 진심 어린 칭찬, 실수와 실패도 포용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칭찬을 할 때는 그 칭찬이 자기 성장과 노력의 결과라는 점을 강조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돕는 방향으로 칭찬을 해 주세요. 아이는 이렇게 될 때 자만하지 않고, 긍정적인 성장 마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칭찬이 아이를 자만하게 만들지 않을까 걱정이 되실 때에는, 바로 이러한 생각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결과의 칭찬보다는 과정의 칭찬이 아이에게 더욱 효과적입니다.

    아이가 그림을 그린 것을 보여주는 경우라면 결과의 칭찬은 와 잘했네 라고 한다면

    과정의 칭찬은 00이의 그림을 보니 열심히 노력했다는게 느껴지는구나 라고 구체적인 칭찬을 해주시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칭찬 이라고 함은

    아이가 무언가를 잘 했을 때, 즉 칭찬 받을만한 행동을 했을 때 보상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칭찬의 기준은 앞서 언급했듯 칭찬 받을만한 그 무언가가 보여질 때 해주는 것이 좋아요.

    아이의 자신감을 주는 것은

    부모님의 긍정적인 메세지 입니다.

    아이에게 "너는 할 수 있어", " 너라면 충분히 해낼 수 있어" 라는 긍정적인 메세지를 전달해 주면서 아이에게 용기와 힘을 복돋아 준다면 아이의 자신감을 조금씩 상승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1. 말씀처럼 긍정적인 칭찬은 아이를 더 성장하게 만들고, 더 노력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만, 반대로 아이가 자만하는 등의 단점이 야기될 수도 있습니다.

    2. 따라서 칭찬을 할 때에는 될 수 있으면 직접적인 점수와 같은 결과에 초점을 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한 과정과 노력에 초점을 두고, 아이가 직접 시도한 것에 대해서 칭찬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칭찬을 하는 것은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과도한 칭찬이나 잘못된 방식의 칭찬은 자만하거나 지나치게 자신감이 과도하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자만을 피하려면 칭찬이 아이의 성취나 노력에 초점을 맞춰야합니다 예를 들어서 "너는 정말 똑똑해"보다는

    "열심히해서 문제를 풀었구나 정말잘했어"처럼 구체적인 행동이나 노력을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방식의 칭찬은 아이가 자신의 노력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게 하며 자만하지 않고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합니다

    또 아이가 칭찬에 의존하지 않도록 실패나 실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노력의 중요성도 강조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칭찬이 아이를 자만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긍정적인 피드백과 구체적인 이유를 들어 칭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