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중에 나와 있는 각종 pay들은 어떤 목적이 있는 걸까요?
지난 5월초 연휴를 이용하여 지방에서 수원과 서울을 오가며 가족들과 짧은 여행을 좀 다녔습니다.
각 지역에 있는 시장이나 음식점외 다양한 가게들의 입구문에는 종류도 다양한 각종 결재 방법인
pay의 종류들이 너무 많더라구요
저도 물론 핸드폰에 있는 삼*페이를 편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이렇게 국외 및 국내 페이들이
많이 생겨나는 이유가 뭐며, 이 들 페이에 가입해서 결재하면 해당 회사에서는 어떤 이점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시중에 나와 있는 페이들의 경우에는 해당 앱을 통해서 결제를 하게 되면 가맹점들로부터 수수료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수수료 수입의 구조는 결국 카드회사의 수입구조와 비슷한 형태를 보이게 되요
신용카드와 매한가지입니다. 다 수수료를 앉아서 먹는겁니다
[수수료 부과 여부 및 비율은 공식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현대카드가 애플에 부담하기로 한 0.15% 수준
삼성페이의 하루 평균 결제액이 1800억원이고 연간 약 68조 규모인 것을 고려할 때, 카드사들은 연간 약 1015억의 수수료를 부담]
어마어마하죠해당 페이들을 통하여 회사들이 수수료를 중간에서 받을 수도 있고 더불어서 해당 페이를 이용함으로써 고객의 정보 등을 파악하고 광고 등을 할 수도 있습니다.
질문하신 시중에 나온 각종 패이들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삼*페이 혹은 애*페이 등이 있는데
일단은 지갑을 집에 두고 다녀도 된다는 점이 가장 큰 이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