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게'라는 게가 있는데, 어떤 종류의 게인가요?
지인이 '칠게'장을 맛있게 먹었다고 자랑을 합니다. 그런데 칠게는 어떤 종류의 게이고 왜 이런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답벤져스입니다.
칠게는 칠게과(Macrophthalmidae)에 속하는 게입니다. 한국에서는 화랑게, 갈게라고도 불립니다. 갑각의 길이는 약 25.5㎜, 갑각의 너비는 약 39.5mm 정도가 되는 비교적 적은 게 종류 중 하나입니다.
칠게는 동해의 포항 이북을 제외한 전 해역에 분포하며, 주로 내만의 하구 근처의 부드러운 진흙 바닥에 직경 1cm 정도의 경사진 타원형 구멍을 파고 서식합니다.
칠게의 이름은 갑각의 뒷면에 7개의 검은 반점이 있는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칠'은 '차고 넘침'이란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라 합니다. 칠칠하다는 말은 '나무·풀·머리털 따위가 잘 자라서 알차고 길다'는 뜻이고, 충청도 방언으로는 '그득하다'는 의미라 합니다.
칠게는 맛이 좋기로 유명합니다. 튀김, 게장, 볶음요리 등으로 통째로 먹거나, 살만 발라내어 요리하기도 합니다. 특히, 전라도 지역의 향토 음식인 칠게장, 또는 칠게젓은 신선한 칠게를 갈아서 각종 조미료와 섞어 만드는 일종의 양념장에 가까운 요리입니다. 일반적인 게장처럼 담그는 칠게장도 있습니다. 순천시에서 유명한 칠게로 만든 칠게빵이 있습니다.
지인이 칠게장을 맛있게 먹었다고 하니, 좋은 재료로 만든 칠게장을 맛보셨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우람한토끼58입니다.
칠게는 "칠" 자는 '차고 넘친다'는 뜻으로 우리나라 펄 갯벌에서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게입니다
갯벌에 주로 굴을 파서 사는 습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