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어패류 중 굴에서 특히 식중독 관련 바이러스가 많이 나오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어패류 중에서 특히나 굴에서 노로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관련 식중독 기사를 많이 본것 같은데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굴은 여과 섭식자입니다. 즉, 물을 체내로 끌어들이면서 미세한 입자나 유기물을 먹이로 사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물 속에 있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타 오염물질도 함께 흡수하게 됩니다. 물이 오염되어 있을 경우, 이 오염물질이 굴 속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굴은 냉수 지역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바이러스, 특히 노로바이러스는 저온에서도 생존력이 높습니다. 따라서 굴은 바이러스가 번식하고 생존하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굴은 냉수 지역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바이러스, 특히 노로바이러스는 저온에서도 생존력이 높습니다. 따라서 굴은 바이러스가 번식하고 생존하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굴섭취로 전염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 입니다.

    노로바이러스는 비교적 감염이 잘 되는 편입니다.

    이는 노로바이러스가 저온에서도 잘 파괴되지 않으며 열로 파괴하기 위해서 80도 이상의 고온에서 조리해야 파괴된다는 점이 작용합니다.

    유독 굴에 의해서 노로바이러스가 퍼지는 이유는

    오염된 수질에서 양식된 굴에 노로바이러스가 감염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노로바이러스는 분변에 의해 잘 퍼지게 되는데,

    바다로 유출된 분변이나 하수가 퍼지면서 양식장의 굴들이 이것이 포함된 해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만약 분변을 배출한 사람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였다면 분변에도 노로바이러스가 존재하고 이것이 해수에 섞여들어가 굴에게 노출되면 굴에 감염됩니다.

    이런 굴을 익히지 않고 먹으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됩니다.

    한 때 노로바이러스 문제가 공론화 되어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위생에 더 신경을 쓰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추워지면 식중독 위험이 낮아진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겨울철은 노로바이러스 같은 바이러스성 식중독이 본격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추워질수록 노로바이러스 생존력이 강해져 영하 20℃에서도 잘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더 많이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발생합니다. 특히 9-12월이 제철인 굴은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의 매개가 되는 수산물인 것입니다. 또한 노로바이러스는 단 10개의 입자로도 감염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전염력도 매우 강한데다가, 일반적으로 굴은 날 것으로 먹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에 걸리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굴은 해산물 중에서도 특히 식중독 관련 바이러스가 많이 나오는 이유는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굴은 해양에서 살아가는 생물이기 때문에 해양 환경에서 노출되는 다양한 미생물과 접촉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식중독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굴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굴은 식용으로 섭취되기 전에 적절한 가열 처리를 거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굴 내부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죽이는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어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굴은 해양에서 살아가는 다른 생물들과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그들로부터 바이러스를 전파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굴을 섭취하기 전에는 꼭 적절한 가열 처리를 거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굴을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보관 방법을 지켜야 합니다. 이러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굴에서 식중독 관련 바이러스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굴은 바다에서 직접 채취되는 식품이기 때문에 오염 위험이 높고, 날로 섭취를 하는 경우가 많기에 특히 노로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 굴이 다른 어패류에 비해 식중독 바이러스, 특히 노로바이러스와 관련된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굴의 특성과 서식 환경 때문입니다. 굴은 여과 섭식 동물로, 바닷물을 여과하여 영양분을 얻는 과정에서 바이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미생물을 농축시킵니다. 또한 굴은 주로 연안 지역에서 양식되는데, 이 지역은 종종 하수 유출물이나 오염된 유거수의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게다가 굴은 보통 날것으로 또는 약간의 조리만 거쳐 섭취되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사멸되지 않은 채 인체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굴이 다른 어패류보다 식중독 바이러스의 매개체가 되기 쉬운 조건을 만듭니다.

  • 굴의 먹이 섭취 방식 때문입니다.

    굴은 해저에서 여과식이 동물로서, 주변 해수에 존재하는 미세한 플랑크톤과 해조류를 섭취하며 성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미생물을 몸에 축적하게 됩니다. 특히 굴은 바이러스에 대한 필터링 능력이 낮아 다른 어패류에 비해 더 많은 바이러스를 축적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즉, 굴 양식장이 위치한 해역이 하수나 농업폐수로 오염된 경우, 바이러스가 해수에 유입되어 굴에 쉽게 축적될 수 있으며, 특히 노로바이러스는 바이러스성 설사의 주요 원인으로, 겨울철 굴 식중독의 주범으로 꼽힙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인간의 배설물에 의해 오염된 해수에서 번식하며, 굴을 통해 쉽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