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를 파면 귀지가 가루형태가 아닌 약간 껌처럼 뭉쳐져서 나오는데 귀에 문제가 있는 건가요?
귀를 파면 귀지가 보통 가루로 나오는 것이 일반적인데
귀에 물이 들어가지도 않은 상태에서
마치 물에 젖었다가 굳은 형태의 귀지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며칠째 계속 그런데 딱히 귀에 물이 들어간 적이 없습니다
저런 형태의 귀지가 나오면 진료가 필요한 상황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귀지의 형태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귀지는 기름진 형태로 가루처럼 나오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도 귀지가 젖은 형태로 나오거나 굳어지는 경우는 귀 속 환경의 변화가 원인일 수있어요. 예를 들어, 습도 변화나 외부 자극으로 귀지가 더욱 습기 차거나, 다른 물질들이 섞여 변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귀지가 물에 젖었다가 굳은 형태로 나오는 경우는 귀 속의 온도나 습도가 달라지거나 귀지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상황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귀에 불편함을 주거나, 청력에 영향을 미친다면 병원에서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는 좋아요. 또한, 귀지가 과도하게 쌓이면 귀지 막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때는 이비인후과에서 전문적인 청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예요. 귀지가 가루 대신 껌처럼 나오면 당황스러울 수 있어요. 사실 귀지는 개인에 따라 그 형태와 양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답니다. 귀지는 보통 습한 타입과 건조한 타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질문자분처럼 뭉쳐져 나오는 습한 귀지는 지극히 정상일 수 있어요. 귀지는 외부의 이물질과 균으로부터 귀를 보호하고, 자연적으로 떨어져 나오기도 해요. 하지만 귀지가 평소와 달리 심하게 변하거나 불편함을 느끼신다면 병원에 가서 한번 확인해보는 게 좋아요. 특히 귀에 가려움증, 통증, 청력 변화가 있다면 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해요. 평소에 귀 청소를 너무 자주 하거나 깊게 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건강한 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귀지의 형태 변화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귀지는 건조하고 가루 형태이지만, 점성이 높아지거나 점막 상태의 변화로 인해 밀랍 같은 형태로 나올 수 있습니다. 43세 남성의 경우, 이러한 귀지 변화는 귀 내부의 습도,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 환경적 요인 등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귀지의 비정상적인 질감 변화는 잠재적인 중이염, 귀 감염, 알레르기 반응 또는 피부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히 통증, 가려움, 이명(귀울림), 청력 변화 등의 동반 증상이 있다면 이비인후과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귀를 함부로 후비거나 긁지 마시고, 귀지 제거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만약 불편감이 지속되거나 추가 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의료진의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귀지는 가루형인 건성과 끈적한 습성 두 가지로 나뉘는데, 최근 형태가 바뀌었다면 피지 분비량 증가나 환경 변화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귀지 자체가 습성으로 변했을 가능성이나, 귀 안 피지 분비가 늘어났거나 땀이 많아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외이도염 초기이거나 진균성 외이도염의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가려움, 통증, 냄새나는 귀지인 경우에는 이비인후과 방문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다른 증상 없이 성상만 변한 경우라면 큰 문제는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사진이 없어 정확히 알긴 어려우나 혈이 섞여 있거나 이통 등 이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다면 크게 걱정하진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귀지가 가루 형태가 아닌 약간 껌처럼 뭉쳐서 나온다고 하셨군요. 귀지는 사람마다 그 성상과 양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귀지의 구성 물질이 다르기 때문인데, 건조한 형태와 촉촉한 형태가 있습니다. 질문자분의 경우에는 귀지가 약간 습한 환경에서 생성되는 형태로 보입니다. 귀에 물이 들어간 적이 없음에도 귀지가 촉촉하게 나오는 경우는 정상적인 변이일 수 있으며, 반드시 병적인 상태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귀지의 형태가 이전과 눈에 띄게 달라지거나, 귀에서 가려움, 통증, 냄새가 나는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귀 내부에 염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종 이런 변화가 특별한 문제가 없는 상태에서 일어나기도 하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지만, 불편함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전문의의 진료를 권장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