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웃음바다
웃음바다

왜 저녁때 쯤에 모기나 벌레가 나오는 걸까요?

모기나 각종 벌레들이 낮에는 잠잠하다가 저녁 때쯤 출몰하는 걸까요??

과학적 근거를 들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너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모기나 각종 벌레들이 낮에는 잠잠하다가 저녁 때쯤 출몰하는 이유는 생존전략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 조명, 포식자 등의 변화에 따른 적응 전략 때문이죠.

    이러한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벌레들은 활동에 가장 유리한 시간대를 선택하여 활동을 하고, 생존하며 번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야행성 모기의 경우 1차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로 흡혈대상을 찾고, 그 이후 냄새와 열 등을 이용해 흡혈대상의 위치를 하악하여 접근해 흡혈합니다. 때문에 어두운 환경에서도 흡혈대상을 잘 찾을 수 있습니다. 어둠속에서 흡혈 대상인 동물은 빛이 적어 모기를 찾기가 힘들며, 모기의 색도 어둡기 때문에 모기가 숨기도 쉬워 생존에 유리합니다.

    야행성 곤충의 경우는 적은 빛으로도 사물을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밤에 활동합니다.

    밤에 활동할 경우 낮보다는 포식자들의 수가 적고, 어둠속에 숨기가 쉬우므로 생존에 유리합니다.

    주행성 곤충은 어두워진 환경에서는 잘 볼 수 없기 때문에 밤이되면 활동하지 않습니다.

  • 대부분의 곤충들은 밝고 어두워지는 광주기에 의해 생리 과정이 조절되고 행동도 결정됩니다. 또 저녁 무렵이 되면 기온도 서늘해지고 습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곤충들이 활동하기 적절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일몰 전후로 곤충들의 활동량이 증가하여 어둑어둑해질 즈음에 날벌레나 모기들이 많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 모기는 주로 야행성 생명체에 속하기 때문에 낮에는 잠을 자거나 쉬는 경우가 많으며, 해가 지고 난 이후부터 새벽까지 활동을 많이 하는데요 모기가 낮에 활동하지 않는 이유는 빛에 대한 안구 적응력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며, 오히려 빛이 별로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 더욱 민감하게 빛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밤에 활동하는 것입니다.

  • 저녁에는 온도가 낮아지고 습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서 모기나 벌레들이 활동하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또 저녁에는 동물들이 활동을 줄이거나 잠들기 때문에 모기나 벌레들이 먹이를 찾기 쉬운 시간이 됩니다.

  • 모기나 글의 곤충들이 저녁에 움직이는 것은 생존과 연관이 있습니다. 낮에 움직이게 되면 더 잘 보이게 되고 새나 곤충 등 자신의 천적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상대적으로 밤에는 이런 천적의 활동이 줄어들기 때문에 낮에는 숨어서 쉬고 있다가 밤에 활동을 해서 생존 가능성을 높이게 됩니다.

  • 모기나 벌레들이 저녁 무렵에 많이 활동하는 이유는 주로 온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곤충들은 변온동물로 체온 조절 능력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낮 동안의 높은 기온보다는 서늘한 저녁 시간대의 온도가 활동하기에 적절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습도도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데, 습한 저녁 공기 속 수분이 모기 등의 활동과 산란에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일부 곤충은 빛에 반응하는 특성도 있어 황혼이나 인공 조명에 많이 모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저녁 시간대의 적정 온도, 습도, 빛 환경이 곤충의 활동 리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주된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인간의 활동 패턴도 벌레들의 활동 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녁 시간에 불을 켜는 등의 활동은 빛에 이끌리는 벌레들을 유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일과 후에 활동을 하는 저녁 시간에는 외부로 나와 활동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집니다. 이런 환경은 모기에게 이상적인 사냥터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