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거창한레오파드265
거창한레오파드26523.08.23

플라시보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플라시보 효과는 실제 효과가 없는 약물을 써서 환자가 긍정적인 심리를 가지게 해서 실제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어떻게 이런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지 너무 신기하게 생각됩니다. 어떻게 이런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지 과학적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심리학・의학 용어로, 효과가 없는 약제를 진짜 약으로 가장하고 섭취하였을 때, 환자의 병세가 실제로도 호전되는 현상이다. 대표적인 예로 임상실험의 대조군에서 아무 효과도 없는 약(포도당 등)을 처방받아 먹었음에도 병세가 호전되는 사례를 들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내가 기쁘게 해주지'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14세기 즈음엔 죽은 사람들을 위한 저녁 기도로 쓰였다고 한다. 한국어로 '위약(僞藥)', 즉 가짜 약으로 번역된다.

    어떤 경우는 플라시보 효과에 의해 환자는 '나아졌다'고 느끼지만 실제 수치는 나아지지 않을 때도 있다.[1] 즉 플라시보 효과의 원래 의미와는 다르게 '실제로 건강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건강해졌다고 착각'(확증편향)하게 되는 것. 이런 경우 완화 내지는 완치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게 되어 치명적인 결과를 부를 수 있으므로 환자는 본인의 감을 믿지 말고 의학적 판단을 믿는 편이 낫다. 사람은 자기 몸을 자신이 알거나 통제하지 못한다고 여기면 공포나 거부감을 느끼며 그 사실을 부정하고 싶어하는데, 괜한 고집 부리지 말고 '난 건강하다'고 자부하던 이가 갑자기 앓기 시작하거나 돌연사하는 일이 생각보다 잦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플라시보는 쉽게 관찰되지만 그것이 플라시보가 검증된 약보다 낫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출처: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실제 효과가 없는 약물이나 치료법을 사용했을 때 환자가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치료에 임함으로써 실제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심리적 치료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작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도파민은 보상과 만족을 느끼는 데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이고, 세로토닌은 기분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를 경험하면 뇌에서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분비가 증가하여 기분이 좋아지고 통증이 감소하는 등의 효과가 나타납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현상이지만, 그 원인은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환자의 기대감, 의사와 환자의 관계, 치료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환자가 치료를 받을 때, 기대와 신념에 의해 긍정적인 심리적인 상태가 형성됩니다. 이는 자연적인 자가치유력을 촉진시키고, 신체의 자연적인 회복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