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새까만비단벌레279
새까만비단벌레27922.12.08

한국 미국 12월 금리 오를까요?

요즘 증시가 주춤합니다. 연준에서 피봇의사를 밝혔는데도요

12월 금리 전망이 좋지 않은 걸까요?

아니면 내년에 예정된 불경기에 다른 소식이라도 있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준에서 피봇의사를 밝힌 것은 금리의 인상 기조를 완화하겠다는 말을 하게된 것인데요. 하지만 여기서 함정은 증권가에서는 계속 이 피벗을 본인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판단해서 연준의 피봇으로 금리인상기조가 완화되어 내년에는 금리를 내릴 수도 있다라는 식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연준은 단 한번도 내년의 금리인하 이야기를 꺼낸적이 없었는데, 증시에 사람들을 빨리 오게 만들어서 본인들 수수료 수입과 이익을 위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미국은 12월 14일 FOMC회의에서 0.5%의 빅스탭을 밟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이에 우리나라와의 금리격차는 현재 0.75%에서 1.25%로 심화되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난 11월 24일이 올해의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 일정으로 더 이상으 기준금리 인상은 없습니다. 다만 내년 금통위 일정이 1월 13일에 있어 한국의 금리상승은 내년 1월 13일에 0.25%~0.5%의 금리인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미 연준에게 나쁜 소식은 미국의 실업률이 높지 않았다는 것과 시간당 임금 인상률이 5.1%로 예측치인 4.7%보다 높게 나오면서 인플레이션이 다시금 상승할 수도 있다는 지표가 발생하였기에 긴축의 끈을 놓지 않고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되는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는 예고를 한 상태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8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기준금리 인상 폭을 완화할 수도 있다고 하였지만 최근 과열된 노동시장이 진정될 때까지 기준금리 인상 자체는 계속하겠다고 이야기한 것을 보았을때 미국은 12월에 0.5%의 빅스텝을 진행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상은 올해는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다만 미국의 경우 한번의 FOMC가 남아있고 이를 통해 기준금리 자체가 인상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고, 다만 이를 어느정도까지 인상할 것인가에 대한 예상이 분분한데 아무래도 0.5%의 기준금리 인상이 있지 않을까라는 시장의 의견이 강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 컨센서스는 올해 마지막 FOMC 회의에서 미연준은 0.5% 빅스텝급 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더욱 관심을 모으는 건 점도표와 내년 경기 전망에 따른 긴축의 강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단 한국은 올해 더이상 금통위가 열리지 않습니다. 미국은 12월, 다음주에 금리 인상 예정이구요. 0.25이냐 0.5냐 지금 왔다갔다 하는데, 0.5 올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면 4.5% 정도로 올해 마감될거라 보여집니다. 내년에도 고금리는 지속 될거라 전망 됩니다.. 최종금리가 5.25로 예상되지만, 물가나 고용 지표에 따라 변동 될수 있습니다. 내년은 본격 경기침체 진입으로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같은 경우 올해 금리결정은 끝났고,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금리를 빅스텝을

    보일 가능성이 상당히 커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우리나라 또한 내년 상반기에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까

    싶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