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화내는 횟수가 점점 늘어나는 아이는 어떻게 대하는게 좋을까요?

아이 생각대로 일들이 잘 안풀리거나 원하는 것을 하지 못했을 때 특히 화를 자주냅니다. 저도 가끔 너무 화가나서 아이에게 그만하라고 잔소리를 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는게 최선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화를 내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화를 내는 것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인데요.

    이는 바람직한 행동은 아니기 때문에 바로 잡아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화를 낸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화를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화를 내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더나아가 화가 나는 감정이 올라오면 잠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면서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머릿 속으로 생각을 정리한 후 언어로 부드럽게 조곤조곤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해야 함을 인지시켜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화를 낼 때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세요

    그리고 감정을 가라 앉히도록 시간을 주세요

    감정 조절 방법을 가르쳐 주시고, 올바르게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일관 성 있는 반응으로 화를 낸다고 부모가 해결해 주지 않음을 인식 시켜 주세요

    올바른 긍정적인 표현으로 대화를 이끌어 나갈 때 칭찬과 격려를 해줄 수 있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실수해도 실패해도 되지만 그걸로 화를 내어 표출할때는 단호하게 훈육을 해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일이 잘안풀릴때의 표현 방식을 바꿀 수 있도록 다양한 표현을 알려주시고, 아이가 실수하거나 실패해도 괜찮다고 자주 얘기해주세요. 그리고 그런 화내는 표현방식은 타인에게도 본인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이 더욱 많다는 것을 인지시켜주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표현방법이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이 서투르기 때문에 맘대로 일이 안풀리거나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할때는 화를 낼수도 있습니다. 부모님께서 아이의 행동을 보고 잔소리하거나 화를 내기보다는 아이와 대화를 통해 무엇때문에 화가났는지를 원인을 파악하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의 생각을 들어보고 생각처럼 되지 않는 다고 해서 화를 내는 것을 잘못된 것임을 아이가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으며 대처방법이나 대안을 제시해주면서 감정조절을 할수 있도록 도와주는것도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회내는 횟수가 점점 늘어나는 아이에게는 아이감정을 인정하며 공감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 의견을 존중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화가 많아 진다는것은 아이가 하고 싶은게 많아 진다는것입니다. 이것을 하지 위해서 모든 방법을 동원하는데 이때에는 아이가 화를 낼 경우 부모님께서 관심을 주시던 아이가 원하는것을 해주시던 해서 아이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인식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를 확실하게 훈육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이는 아이가 화를 낼 경우 화를 내면 안된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화내는 아이에게 그 이유에 대해 대화가 필요합니다. 이유를 잘 들어주고 이해할 수 있도록 대화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현재 아이가 표현하는 화를 포함한 모든 감정을 일단 인정해주시고 공감을 해주세요. 하지만 감정들 뒤에 따르는 모든 행동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짜증과 화를 표현하기 위해 큰 소리를 지르며 운다거나, 상대방에 폭력을 쓰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의 행동을 하게되면 이는 절대 받아들여 주시면 안됩니다. 우선 감정을 공감하고 인정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그대로 인정해주고 이해하고 있다는 표현을 하게 될 때 그것만으로 아이의 강한 감 정이 금방 누그러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한을 말해주어야 합니다. 수용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해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한을 전달하고 설명이 길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대안을 제시해주셔야 합니다. 위에서 제한한 행동 대신 받아들여질 수 있는 행동을 제시하고 그 행동을 하면서 아이의 감정과 욕구를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다른 대안을 제시하고 그 대안이 수용 가능한 행동이라면 그대로 행하도록 이끌어주면 됩니다. 결국에는 아이의 감정을 민감하게 알아채주고 적합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대응해줄 때 아이는 안정감 있는 정서를 지닌 건강한 아이로 자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를 따뜻하고 애정으로 감싸주시는게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