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이 현실화될 수도 있을까요?
인구절벽이 미국 경제학자가 주장한 학설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저출산으로 인해 이 인구절벽이 현실화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인가요?
이미 일본을 비롯한 우리나라도 또한 저출산에 돌입을 하였습니다..주변만 보아도 결혼을 안하거나 하여도 아이를 갖지 않는등 1인가국 및 경제적인 문제등으로 고령화 사회가 시작되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출생률이 0.7명 1년 신생아 수가 27-28만명으로 저출산 문제가 매우 심각합니다. 이는 oecd국가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상태로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질문자님 말씀대로 인구절벽에 다다를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장 우리나라만 해도 인구절벽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여러가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펼치고 있지만 출산율은 나아지지 않고 있고, 이로운 부분일 수 있겠으나, 의학 등의 발달로 인하여 고령화사회가 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네, 맞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저출산, 고령화의 속도가 너무 빨라서 전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는 대표적인 국가가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실제로 인구절벽의 조짐이 이미 보이는 국가들도 많은 상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저출산 및 고령화 추세로 인해 사회 구성원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인구 절벽'의 위기 상황에 놓여 있는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생산인구의 감소는 우리 사회 전반에 걸친 침체 현상을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국가의 잠재 성장률하락이라는 매우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현재 출산율이 1명도 되지 않으며
고령화가 지속적으로 빨라짐에 따라서 인구절벽이 실제로
현실화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