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굳건한칼새148
굳건한칼새14822.01.13

단백뇨가 나왔다는데, 왜 나오나요?

나이
52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
기저질환
없음

건강검진에서 소변검사를 했는데 단백뇨가 나와서

일주일 후 재검, 역시 단백뇨가 나온다해서 며칠 후 하루치 소변을 모아 검사를 다시 하기로했고.

그때 콩팥,간, 등 초음파검사도 같이 하자고하셨습니다.

내과에서 검진 받았어요.

요새 운동을 너무 안하고 스트레스가 많아서일까요?

한동안 입맛도 없었지만 최근 2,3개월 동안은 그럭저럭 잘 먹고있습니다.

몇년전부터 역류성 식도염이 있었는데, 그때문에 목에 이물감이 있어 불편하긴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단백뇨는 신장이 제 기능을 못할 때 생기는 증상입니다. 정상인에서는 신장에서 소변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신장에 염증이 생기면 단백질을 걸러내는 기능이 떨어져 단백뇨가 나올 수 있습니다.

    추가적 검사를 예정대로 진행해 보시길 바랍니다. 일시적인 증상일 수도 있고, 만성적으로 있었던 증상이라면 빨리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15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단백뇨의 경우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신장의 기능저하로 정상적으로는 걸러져 나오지 않아야할 단백질이 거름망을 뚫고 소변에서 검출되는 것입니다. 역류성식도염과 운동과는 무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단백뇨는 신장이 제 기능을 못할 때 생기는 증상입니다. 정상인에서는 신장에서 소변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신장에 염증이 생기면 단백질을 걸러내는 기능이 떨어져 단백뇨가 나올 수 있습니다. 검사에서 단백뇨 의심이 나왔다면 신장내과로 가셔서 정밀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단백뇨가 있다면 신장 질환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일시적인 증상일 수도 있지만 신장 관련 질병을 나타내는 증상일 수도 있는 만큼 관련하여 예정된 정밀 검사를 잘 받아보시고 결과를 확인하실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

    소변에 단백질이 나오는 것을 단백뇨라고 합니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150mg미만의 단백뇨는 신장에서 배설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인에서 하루에 소변으로 배설되는 총 단백질의 양이 150mg 이상일 경우 비정상적인 상태이며 임상적으로 단백뇨라고 정의합니다. 특히 하루에 배설되는 단백량이 3.5g/m2이상으로 심할 경우도 있는데 이를 신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단백뇨가 나온다고 해서 모두 병적인 경우는 아닙니다. 서있는 경우에만 단백뇨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심한 운동 후이나, 열성 질환, 심한 스트레스상황에서도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나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를 기능적 단백뇨라고 하며 성인의 5% 정도에서 관찰되나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지속적으로 소변에 나오는 단백뇨는 임상적인 증상을 유발하며 추후 신장기능의 저하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어 원인을 찾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단백뇨는 대부분 신장의 사구체나 세뇨관 등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관찰됩니다.

    사구체의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단백뇨는 신장염이나 당뇨, 자가 면역 질환, 간염, 악성종양, 여러 약제의 부작용 등에서 신장염을 동반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구체의 이상에서 발생하는 단백뇨는 하루 배설되는 요단백량은 다양하게 나타나서 150mg 이상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하루 3g 이상의 심한 단백뇨를 보일 수 있습니다.

    세뇨관의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단백뇨는 급성 신우신염이나 급성 신부전에서 근위세뇨관의 기능이상으로 인해 유발 되는 단백뇨입니다.

    기립성 단백뇨나 기능적 단백뇨의 경우는 대부분 신장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세뇨관성 단백뇨도 원인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원인을 치료할 경우 대부분 회복되므로 전반적인 예후는 좋습니다.

    사구체성 단백뇨는 많은 질환에 의해서 유발되며 원인질환에 따라 예후가 다르지만 다수에서 신장기능의 저하가 나타나며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어 신장내과의 관리, 치료가 필요하게 됩니다. 특히 신증후군과 같이 단백뇨가 심한 경우는 부종도 심하지만 고혈압, 고지혈증, 급성신부전, 감염질환 증가, 혈액응고장애로 인한 다발성 혈전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단백뇨가 발생하는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신장에 이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역류성 식도염과는 큰 관계는 없습니다. 사구체 질환, 혈관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꼭 질병적인 원인이 아니더라도 검사 상 특이 이상이 없으며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는 기능성 단백뇨라고 부르며 신장에 특별한 악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단백뇨란 소변 내에 과도한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단백질을 재흡수하지 못하고 소변으로 단백질이 나옵니다. 단백뇨는 당뇨,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단백뇨 수치의 증가는 신장 손상 정도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