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박식한비둘기179
박식한비둘기17923.02.16

이슬람 수니파와 시아파는 왜 싸우나요?

이슬람도 크게는 수아파와 시아파로 나눠서 심하게 싸우는데 이런게 그들의 경전인 코란의 해석 차이인가요 마치 기독교가 여러 성경 해석하는거 처럼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함마드는 딸 파티마만을 남기고 죽었고 아랍은 가부장적인 사회여서 후계자를 세워야했고 무함마드의 유일한 혈통인 사촌동생 알리가 파티마와 결혼해 사위가 되고 알리가 후계자가 되는게 맞다고 생각했지만 되지 못하고 후계자를 칼리프라 불렀는데 칼리프는 종교적인 권위와 일반적인 권력을 모두 가진 통치자로 이 칼리프직에서 알리가 배제됩니다.

    무함마드가 죽고 24년이 지난 656년 4대 칼리프가 된 알리는 반대파에 의해 죽임을 당해 무함마드와 그 혈족으로 이슬람 전통을 이어여 한다고 믿던 사람들이 분노를 하게 되며 더 이상 이사람들과는 같은 종교를 갖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바그다드로 이주합니다.

    이 사람들이 시아파가 됩니다.

    시아파는 떨어져 나간 무리라는 뜻으로 메카에 남은 사람들은 우리는 잔존파다 , 우리가 주류다, 정통이다 라 말했느네 이들이 수니파가 된겁니다.

    따라서 수니와 시아는 교리논쟁에 따라 나뉜 종파라기 보다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에 생긴 정파라고 이해하는것이 적절합니다.

    알리에게는 하산과 후세인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고 계속 메카에 남아있던 하산은 독살을 당합니다.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아들의 복수가 두려운 반대파가 그를 제거한것이고 둘째 후세인도 살해될 가능성이 커지자 바그다드에 정착한 알리의 추종자들이 후세인을 초대해 메카에 있으면 위험하니 우리가 보고해줄수 있는 안전한 곳으로 오라는 것으로 위협을 느끼고있던 후세인은 무리를 이끌고 바그다드로 갑니다.

    이를 안 반대파는 추격에 나서고 바그다드 인근 카르발라에 배목하다 결국 후세인 일차는 반대파에게 완벽히 패배하고 후세인은 살해당하는 680년 일어난 카르발라 전투가 일어났습니다.

    시아파 사람들은 알리의 죽음보다 차남 후세인의 죽음을 더 애통해했는데 무함마드의 혈족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니파와 시아파 사이의 갈등은 이슬람 초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 차이의 복잡한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두 그룹 사이의 분열은 서기 632년 선지자 무함마드가 사망한 후 무슬림 공동체의 지도자로서 누가 그를 계승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 불일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수니파로 알려지게 된 대다수의 무슬림은 공동체가 협의와 합의 과정을 통해 지도자를 선택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무함마드 사후 첫 번째 칼리프(무슬림 공동체의 지도자)로 무함마드의 가장 가까운 동료 중 한 명인 아부 바크르를 선출하는 것을 지지했습니다.

    그러나 시아파로 알려지게 된 소수의 무슬림들은 예언자 무함마드가 그의 사촌이자 사위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를 정당한 후계자로 지명했다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아부 바크르와 이후의 지도자들의 선출을 거부하고 대신 알리와 그의 후손들을 무슬림 공동체의 정당한 지도자로 지지했습니다. 이러한 불일치는 무슬림 공동체의 분열로 이어졌고, 수니파와 시아파는 뚜렷한 종교적, 정치적 전통을 발전시켰습니다.

    수니파와 시아파 사이의 갈등은 지정학적 긴장, 지역 권력 투쟁, 극단주의 이데올로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수년에 걸쳐 촉발되었습니다. 최근 수니파와 시아파 공동체가 종파분쟁에 참여해 온 이라크와 시리아와 같은 국가에서 갈등이 특히 심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