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바닷물은 넘치지가 않는 걸까요?
바다라는 곳이 엄청 넓은 것도 있겠지만
오랜 시간동안 엄청난 비와 유입되는 강물들을 생각해보면
분명 넘쳤어야 정상인데
어떻게 딱 그정도의 그릇에 맞게 유지할 수가 있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순환하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이 증발해 구름이되어 비가 내리고 강으로 흘러 다시.바다로 오는 것이지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로 수분이 유입되는 만큼 대기로 증발하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물이 증발하기 때문인데요.
지구상에서 1년동안 증발하는 물의 양은
약 485조톤 이며 이중 424조톤은 바다에서
증발하고 61조톤은 육지에서 증발합니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를차지하다 보니
바다에서 대부분 증발이 되는 셈인데요.
증발로 만들어진 486조t의 구름은 비가되
바다에 385조톤이 내리고 100조톤은
육지에 내리게 됩니다.
바다는 증발한 양보다 적은 양의 비가오고
육지는 증발한 양보다 많은 양의 비가 옵니다.
육지에 더 내린 39조톤은 육지에 비로
내린다음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양이 되어
증발하는 양과 비가 내리는 양이 일치합니다.
이렇게 물은 증발하고 순환하기 때문에
아무리 바다로 흘러들어도 바다는 넘치지 않게 됩니다.
바다와 하천의 물이 태양열을 받아
데워질때, 식물이 호흡할때 물이 수증기가
되어 공중으로 떠오르고 이렇게 공기속
수능기가 응결되면 구름이 됩니다.
이러한 름이 비나 우박 눈이되어 땅으로
떨어지며 이러한 과정을 물의 순환 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엄청남 비와 유입되는 강물이 어디서 왔는가를 생각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바닷물이나 담수에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되고 수증기가 바람을타고 이동하여 육지에 비나 눈이되어 내리므로
전체적으로보면 물의 양은 변함없이 그릇에 맞는 수준으로 유지되는것 입니다
답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바닷물이 증발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여러 환경적인 요인으로 물은 순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닷물은 넘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내에서 외부 우주로 나가는게 없죠? 따라서 총량은 어느정도 비슷할것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바닷물의 경우 하늘로 올라가서 수증기가 되고 비가 되고 하면서 다시 바다로 내리면서 순환을 하게 되는겁니다. 그래서 총량은 계속 지켜지는겁니다. 비도 결국 지표면의 수분들이 올라가서 되는겁니다. 이것만 이해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