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헌신하는족제비288
헌신하는족제비288

인공 생명체 연구에서는 어떤 종류의 인공 생명체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런 생명체의 활용 분야와 윤리적 고려 사항은 무엇인가요? 최신 인공 생명체

인공 생명체 연구에서는 어떤 종류의 인공 생명체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런 생명체의 활용 분야와 윤리적 고려 사항은 무엇인가요? 최신 인공 생명체 연구와 관련된 사례를 언급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공 생명체 연구는 최근 사람의 인공지능을 모방하여 컴퓨터 내 인공지능세계를 구축하고 시뮬레이션 형태로 행동을 분석하는 형태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동작과 연계하여 로봇을 운용하는 생명체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로봇강아지와같이 반려동물형태로 출시되고있기도 합니다.

    다만 마래에 인간을 완전이 모방한 인공생명체에 대한 윤리적 문제는 각 나라나 기업간의 합의가 있어야 연구나 제작이 가능할 것 같고 그 전에는 우선 거부감에의해 전면 금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모든 게놈지도를 파악한 예쁜꼬마선충의 경우 신경회로망을 인공적으로 완벽히 구성할 수 있는데, 이 신경회로망을 탑재한 인공구조체 로봇을 만들고 동작을 확인한 연구가 있습니다.

    실제 예쁜꼬마선충의 동작과 크게 차이가 없어 화제가 된적이 있었습니다.

    즉, 앞으로 생체를 모방한 인공지능의 발달이 지속될 수록 실제 생물체와 구분이 점점 어려워질것이 분명하기때문에 윤리적인 규제나 상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 인공 생명체 연구는 최첨단 과학의 한 영역으로, 기본적인 생명의 속성을 모방하거나 재창조하려는 시도를 포함합니다. 이 분야의 연구는 합성 생물학의 한 형태로, 인공적으로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전체 세포를 합성하여 새로운 생명 형태를 창출하려는 목적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가 개발한 'Myco plasma mycoides JCVI-syn3.0'은 최소한의 유전자만을 가지고도 생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합성 박테리아 세포입니다. 이와 같은 합성 세포는 의학적 치료나 생명 과학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유전자 조작을 통해 특정 화학물질을 생산하거나 환경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능력을 갖춘 미생물의 개발이 있습니다. 이런 미생물은 환경 복원 프로젝트나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인공 생명체 연구 분야에서는 합성 생물학, 로보틱스, 인공지능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생명체를 만들어내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크렉(Craig Venter) 연구팀이 최초로 합성한 인공 유전체를 가진 세균 마이코플라스마 라보라토리움(Mycoplasma laboratorium)이 있으며, 제넨텍(Genentech)에서 개발한 인공 박테리아 신세티아(Synthia)는 석유 정화 등에 활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젤리피시 로보틱스(Jellyfish Robotics)가 개발한 인공 해파리 로봇이 해양 모니터링에 활용되는 등 인공 생명체의 실제 적용 사례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공 생명체가 환경이나 생태계에 미칠 영향,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 악용 소지 등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고 사회적 합의를 거쳐야 한다는 윤리적 논의도 지속되고 있어, 인공 생명체 연구는 과학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책임 있는 자세를 요구하는 분야라 할 수 있겠습니다.

  • 미국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는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매사추세츠공대(MIT) 비트및원자센터와 공동으로 스스로 성장한 뒤 균일하게 분열하는 인공생명체 ‘JCVI-syn3A’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스스로 생명을 유지할 뿐 아니라 자손 번식까지 가능한 진정한 의미의 세계 최초 인공생명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공생물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데요 유전자 회로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생명 유지에 필요한 최소 기관만 가진 합성세포를 만들고 여기에 유전자만 추가해 환경에 따라 원하는 유전자만 발현시키는 '스마트 식물'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 합성 생물학 분야에서는 DNA 조작을 통해 새로운 종류의 미생물을 개발하거나 기존의 생물체를 수정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 생명체는 의학,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의 사례로는 CRISPR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이 있습니다. 이 기술은 유전자를 수정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되며, 질병 치료, 유전자 수정, 식물 육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