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풍족한직박구리212
풍족한직박구리21222.12.12

비가 눈이 되려면 영하에만 가능한가요?

눈이 생성될 당시 구름위에서는 온도가 영하지만 내려오면서 지상의 온도가 영상이면 바로 녹아서 비로와야 맞지않나요? 그렇지 않은 이유 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2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의 온도가 낮으면 떨어지던 비가 눈으로 바뀌어 내리게 됩니다. 지상의 온도가 영상이면 눈이 바로 녹아서 비로 내려야 하지만, 눈오는 날이 항상 영하권 온도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물이 어는 온도는 기압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지상의 기압이 변하게 되면 액체와 고체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온도의 범위가 약간 넓어지게 되어 눈이 바로 녹지 않고 그대로 내릴 수도 있습니다. 지상의 기온이 영상이더라도 1Km 만 올라가도 기온이 영하의 온도일 수 있습니다. 영하의 온도가 유지되는 상공의 높이가 낮다면 충분히 눈으로 내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기온이 영상2도이하일때 눈이 내립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3~4도 에서도 눈은 내리나, 영상6도 이상일때는 비가 내립니다.

    영하 2도 이하일때는 반드시 눈이 내립니다.

    영상2도인데 눈이 안녹는 이유는 눈이 만들어지는 상층부 구름의 온도(기온)이 아주 낮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상층부의 기온이 영하가 되면 언제든지 눈을 만들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감사합니다.


  • 네 맞습니다.

    구름위에서 영하면 눈이 만들어지고 지상의 온도가 영상이면 눈이 녹아 비가 되거나 진눈깨비 눈이 됩니다.

    영상이라고 눈이 즉시 녹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눈이 남을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내리면서 비가 되지 않는 이유는 대기권의 온도가 지상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떨어지면서 녹는 속도보다 더 빨리 떨어지게 되는거죠. 따라서 지표면의 온도가 높다면 떨어지자마자 녹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상으로 떨어지는 속도와 지상의 온도가 그 눈을 녹이는데 걸리는 시간때문에 바로 비가 되지 않는 것입니다.

    냉장고에서 꺼낸 얼음이 여름에 덥다고 바로 녹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