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황새는 텃새인가요?

우리나라에 살던 황새가 멸종을 해서 황새를 복원하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살던 황새는 텃새인가요? 아니면 철새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새는 우리나라에 겨울철에 텃새로서 서식하는 조류입니다. 황새는 주로 시베리아와 중국 북부 지역에서 번식하며, 겨울철에는 남하하여 우리나라와 일본, 동남아시아 등에서 서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 50년전에는 황새는 텃새에 해당되었습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사냥으로 인해 개체가 많이 사라져 잘 발견되지 않다가 최근들어 개체 보존을 위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과거 처럼 텃새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진행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새는 옛날에는 텃새였으나, 요즘은 서식지 파괴등의 문제로 철새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우리나라에서 살던 황새는 철새였습니다. 황새는 겨울철을 따뜻한 지역에서 보내기 위해 북반구의 춥고 추운 지역에서 남반구의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철새입니다.

      황새는 우리나라에서 여름철에 번식하고, 겨울철에는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로 이동하였습니다. 그러나 농약 살포, 서식지 파괴, 사냥 등의 이유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1970년대에는 완전히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에는 황새 복원 사업을 통해 황새가 다시 우리나라에 돌아오고 있습니다. 환경부와 한국조류협회는 2000년부터 황새 복원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현재는 200여 마리의 황새가 우리나라에서 번식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새의 분포권은 러시아와 중국, 한반도, 일본에 국 한되어 있으며, 네 개의 나라에 사는 황새들이 저마 다 다른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러 시아 황새들은 위도가 높고, 아주 넓은 아무르 강 유 역에서 짧은 번식기를 갖습니다. 가을이 되면, 추운 날씨를 피해 중국이나 한반도로 남하해 지냅니다.


      이렇게 한반도에 방문한 러시아 황새 일부가 아주 오 래전에 한반도의 논과 하천에 정착해 텃새로서 살아 가기 시작하였을거라 추정합니다. 즉, 한반도는 텃 새인 황새들이 일 년 내내 지내는 곳이자, 겨울이 되 면 러시아 황새들이 내려와 함께 지내던 곳이지요.


      하지만 한반도 철새인 황새들이 러시아 어디에서 오 는지는 아직 밝혀지지않았기에 방사한 황새와 철사

      인 황새를 모두 보전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텃새 황새는 1970년 초에 절멸되었습니 다. 이에 한국교원대에서는 1g96년 이후 황새복원 사업을 시작했고, 2015년 예산군과 함께 성공적으 로 첫 방사가 이뤄졌습니다. 약 40마리의 방사 황새 들은 방사지인 예산군에서 매년 번식을 하기 시작했 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새는 과거에 한반도 전역에 마을마다 고루 분포하며 우리 민족과 함께 사계절을 더불어 살아온 텃새입니다 그러나 현재 겨울철이면 황새가 큰 강 하류나 연안에 나타났다는 뉴스를 보기도 하는데, 이들은 러시아 아무르 지역에서 번식하는 황새들로 겨울 한반도에서 겨울을 나고 다시 러시아로 돌아가게됩니다. 다른지역에 서식해도 유전적으로 같은 종이기 때문에, 한반도에 텃새가 복원된다면 러시아 황새들은 차후 한반도 황새와 유전적으로 교류할 가능성도 매우 높습니다. 그렇게 되면 러시아 황새들은 한반도에 그냥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출처 : 황새생태연구원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황새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텃새 중 하나입니다. 황새는 주로 겨울철에 우리나라로 이주하여 서식하는 조류로, 봄이 되면 다시 북방으로 돌아갑니다.

      황새는 주로 습지, 강 유역, 해안 등에서 서식하며, 주로 물고기, 갑각류, 양식물 등을 먹고 생활합니다. 이주하는 텃새로서, 황새는 사계절을 다양한 지역에서 보낼 수 있으며, 온도와 자원의 가용성에 따라 이동 패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황새는 텃새입니다. 황새는 주로 겨울철에 우리나라로 이동하는 철새 중 하나로, 주로 밭과 들판에서 먹이를 찾아 다니며 서식합니다. 겨울철에는 주로 남한 지역에 서식하며, 물결 모양의 날개로 유명한 새 중 하나입니다.

      황새의 서식지는 대한민국의 농경지와 물습지에서 찾을 수 있으며, 주로 벼 밭에서 먹이를 찾아 먹습니다. 황새는 한반도의 겨울철 철새로서 중요한 생태계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들의 서식지와 이동 경로를 보존하고 보호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멸종 위기에 처한 황새를 복원하고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황새의 서식지를 보존하고 황새 인구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황새는 텃새와 철새가 섞여있다고 봐야겠습니다. 러시아 아무르 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을 우리나라에서 나는 철새 황새이고, 다른 종류는 한국교원대학교와 예산군이 복원사업을 통해 방사한 텃새 황새입니다.

      과거에 우리나라에는 텃새 황새가 많았으나, 1970년대 초에 절멸되었습니다. 이에 한국교원대학교와 예산군은 1996년부터 황새복원사업을 시작하였고, 2015년부터 텃새 황새를 방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까지 약 100마리의 텃새 황새가 방사되었으며, 이들은 예산군, 고창군, 순창군 등에서 번식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1970년대 말까지 우리나라에서 살던 황새는 텃새이자 겨울철새였습니다. 봄에는 남쪽에서 번식을 위해 북상하고, 가을에는 북쪽에서 월동을 위해 남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1971년 마지막 황새 수컷이 밀렵꾼에게 총에 맞아 죽은 이후로 자연 번식이 중단되면서 텃새로서의 역할은 사라졌습니다. 현재는 인공번식된 황새를 방사하여 야생에서 자연 번식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023년 7월 기준으로 야생에서 120여 개체의 황새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텃새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살던 황새는 텃새이자 겨울철새였으며, 현재는 텃새로서의 역할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황새는 텃새입니다. 황새는 주로 겨울철에 우리나라로 이주하여 번식지에서 멀어진 지역에서 겨울을 보내는 텃새로 알려져 있습니다. 황새의 번식지는 주로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봄과 여름 동안 이곳에서 번식을 마친 후 가을이 되면 남하하여 다양한 국가와 지역으로 이동합니다. 그 중 일부 황새들은 우리나라의 습지, 강류, 농경지 등에서 겨울철을 보내며, 대표적인 겨울 철조류 중 하나입니다. 황새는 주로 논밭이나 습지 등의 수초 지대에서 식물성 식량인 초생달걀과 씨앗 등을 섭취합니다. 그들은 크고 긴 다리를 가지고 있어서 수중 생태계와 연관된 식물과 동물들도 포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