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강한파카36
강한파카36

만성부비동염 급성부비동염 약성분 같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34
기저질환
우울증 불안장애. 불면증
복용중인 약
우울증 불안장애. 불면증

만성 부비동염 급성 부비동염 약성분같나요

그리고 증상이 계속있었던건아닌데 간헐적으로 나타난거면 뭐로봐야하나요. 부비동염 진단받기는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대부분은 같은 약제를 처방하게 되는데 부비동염의 경우, 만성 혹은 급성

    모두 약을 장기간 복용하도록 하지는 않아 보통, 5~7 일 정도의 치료 기간을

    생각하게 되며 이후에도 증상이 남아 있는 경우, 처방을 더 연장하여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만성 부비동염과 급성 부비동염은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지만, 치료에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두 상태 모두 부비동의 염증과 관련이 있지만, 만성은 주로 몇 개월 이상 지속되는 반면, 급성은 비교적 단기간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약물 성분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두 경우 모두 증상 완화와 염증 감소를 목표로 치료하며 일반적으로 염증을 줄이기 위한 스테로이드 스프레이나 항생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급성 부비동염에서는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기 때문에 급성 증상 완화를 위해 일시적으로 강도가 높은 약물이 처방되기도 합니다. 반면, 만성 부비동염은 장기적으로 염증을 관리해야 하므로,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으로 치료를 진행합니다.

    또한,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나지만, 진단 결과 부비동염이 있다는 것은 증상이 특정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촉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증상의 빈도와 강도, 그리고 특정 유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게 가능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치료약물이 일부 겹치치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급성의 경우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한 것이므로 항생제 중심으로 처방하며 만성의 경우 염증 억제 목적으로 스테로이드나 항히스타민제 처방이 중심이 됩니다. 증상이 간헐적이고 12주 이상 반복된다면 만성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