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과 이방원이 조선 건국을 계기로 멀어진 계기가 뭔가요??
고려 후기 새 나라를 건국하고자 힘을 합쳤던 정도전과 이방원은 조선 건국을 계기로 서로 멀어지고 결국 이방원이 정도전을 죽이는 지경에 이릅니다. 정도전과 이방원이 조선 건국을 계기로 멀어진 계기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도전과 이방원은 조선 건국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이지만, 그들은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과 노선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도전은 이성계의 아들인 이방원과는 달리, 조선 건국 이후에도 왕권보다는 신권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자 했습니다. 이에 따라 두 사람 사이에는 갈등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도전과 이방원은 조선 건국 과정에서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도전은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역할을 했지만, 이방원은 이성계의 아들로서 조선 건국에 반대하는 입장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은 조선 건국 이후에도 갈등을 빚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는 개혁을 통해 유교정치의 실현, 고려 왕조의 발전을 기대했으나 이성계는 혁명을 통해 새로운 왕조를 일으키려했으므로
둘의 생각의 차이가 극심하게 달랐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개국 공신인 삼봉 정도전은 성리학을 국가 건국이념으로 삼고 국가의 체계를 확립합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신권을 강조하다보니 초기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이방원과 사사건건 충돌하게 됩니다. 결국 현실의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이방원에 의해 정도전은 척결되고 맙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도전은 똑똑한 재상 중심 즉 관료 중심의 정치구조를 원하였고
태종 이방원은 강력한 왕권을 펼치기 위하여 노력하였기에
서로 가치관이 상이하여 멀어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도전은 이후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하며 나라를 다스릴 기반을 다져나갔 습니다. 정도전이 이방원과 함께 할 수 없었던 이유는 바로 정도전과 이방원이 바라는 세상이 달랐기 때문 입니다. 정도전은 신권을 바탕으로한 신권 정치혹은 재상 정치를 펴고자 했고 이방원은 강력한 왕권을 바탕 으로한 왕권 정치를 펴고자 했던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