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일본이 장기간 저금리 경제를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일본이 내수 부진의 문제가 있다해도

상당히 장기간 동안 저금리를 이어오고 있고

다시 일본 총리가 아베노믹스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금리라는 것이 물가를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장치이기도 한데

일본이 장기간 저금리를 유지했다는 것은

물가적인 측면보단 내수경제에 더 큰 신경을 썼다는 건가요?

저금리 기간동안 일본도 물가 상승에 대한 말이 많았을 것인데

일본의 경우 물가 상승에 대한 경제 정책은 어떤 것을 펼쳤나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장기 저금리 유지 이유는 다음으로 요약됩니다.

    1990년대 자산 버블 붕괴 이후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었고, 내수 부진 대응으로 소비와 투자 유인을 위해 금리를 낮추고, 기업·가계의 자금 조달 부담을 줄이는 정책을 지속하였습니다. 아베노믹스로는 2012년 이후 아베 신조 총리는 대규모 금융완화, 재정지출 확대, 구조개혁을 통해 경기 회복을 도모한바 있습니다.

    일본은행은 국채·ETF 매입을 통해 시중 유동성을 확대하며 물가 목표(2%) 달성을 시도해왔는데 2016년부터 장기금리(10년물 국채 수익률)를 0%로 유도하며 금리 상승 억제하였으며 2024~2025년 긴축 전전하였는데, 물가·임금 상승이 확인되자 마이너스 금리 해제 및 국채 매입 축소로 정책 정상화 시작하였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본이 장기간 저금리 경제를 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본은 과거에는 탑 3에 들어가는 경제 대국이었기 때문에

    장기간 저금리를 의도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장기간 저금리를 유지한 이유는 1990년대 버블 붕괴 이후 장기 경기 침체와 디플레이션, 인구 감소 등 구조적 문제로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금리를 낮게 유지했기 때문입니다. 아베노믹스 시기에는 무제한 양적 완화와 금융 완화 정책으로 내수경기 부양과 디플레이션 탈출을 목표로 삼은 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장기간 저금리 경제를 유지할 수 있었던 주된 이유는 1990년대 이후 장기적인 디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때문입니다. 버블 붕괴 이후 기업과 가계가 투자 및 소비를 줄이고 저축만 늘리면서 시중에 돈이 돌지 않는 유동성 함정에 빠졌습니다. 이에 일본은행은 경기 부양과 디플레이션 탈출을 위해 기준금리를 제로 혹은 마이너스 수준으로 유지하는 초저금리 정책을 수십년간 지속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오랫동안 저금리 정책을 유지한 이유는 바로 잃어버린 20년으로 불리는 장기 디플레이션과 경제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함입니다. 아베노믹스 정책의 핵심이 바로 강력한 금융 완화(초저금리 유지 및 양적 완화)를 통해 2% 물가 상승률 목표를 달성하고, 내수 활성화와 경제 성장을 이루려는 것이었고, 이처럼 일본은 물가 상승을 조절하기보다는 오히려 적당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유도하여 디플레이션의 늪에서 벗어나려는 데 주력했기 때문에 장기간 저금리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1990년이후 23년도까지 물가가 오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기간동안 전세계 유일하게 디플레이션환경을 겪었고 그렇기 때문에 일본의 내수소비재는 가격인상도 없고 대다수가 월급은 그대로 유지되는 30년째 소득이나 물가의 변화가 매우 미미한 국가였기 때문입니다 이에 젊은세대는 물가상승을 경험한적이 없으며 이기간동안 주식이나 부동산 자산시장도 정체기 였고 이로인해서 앤캐리트레이드라는 신조어도 이기간탄생한것이며 과거 아베노믹스가 물가가 올리는게 가장 핵심 정책중하나였던 것입니다

    그러나 코로나이후 24년에 본격들어서며 물가가 오르기 시작하고 지금은 일본도 2프로가 넘는 물가로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사실상 스태그플레이션 환경으로 이제는 금리를 제로금리 수준으로 유지하기 힘든 환경으로 변모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30년 가까이 디플레이션과 내수부진이 이어져 금리를 올릴 필요자체가 없었습니다.

    물가가 잘 오르지 않는 구조라 통화완화, 양적완화, 제로 금리로 경기 부양을 지속하는 정책 중심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