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독특한코요테139
독특한코요테13923.02.18

왜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지 않나요?

겨울에는 왜 비가 잘 안오나요?

비가 잘 안오는 이유가 혹시 건조한것과 관계가있나요?


과학적인 이유가 있다면 알고싶습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여름과 달리 태양의 입사각도가 낮고 떠있는 시간이 적어

    증발되는 물의 양이 적습니다. 이에따라 구름 형성도 적고 내려오는 기상현상도 빈도가 적습니다.

    심지어 매우추운경우 비가 아닌 눈으로 내리기 떄문에 비가내릴 확률은 극히 작아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아 강수량이 적습니다..

    겨울철에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자나요..북서쪽에서 바람이 부는데 태백산맥에서

    바람이 걸려서 푄 현상때문에 동해안이 같은 위도에 다른 지역에 비해 따뜻한겁니다.. 또 동해안의 난류의 영향을 받기도 하죠..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날씨가 추워서 대기중의 수증기도 적고 건조하기 떄문에 습도도 낮고 기온까지도 낮아서 여름과 같이 구름이 많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비가 더 적게 내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비가 잘 안오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이유는 대기가 매우 건조하기 때문입니다. 겨울에는 대기의 상대습도가 낮아지는데, 이는 곧 대기에 있는 수증기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가 내리기 위해서는 대기에 충분한 수증기가 존재해야 하는데, 겨울철에는 이 수증기의 양이 적어서 비가 내리기 어렵습니다.

    또한, 겨울에는 일반적으로 대기 상층의 기류가 강해져서, 낮은 고도에서는 대기가 매우 안정되어 있어서 구름이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구름이 형성되지 않으면 비가 내리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비가 잘 내리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겨울에 비가 잘 안오는 것은 대기가 건조하고 안정되어 있기 때문이며, 건조한 대기 상태는 비가 내리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