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하루하루
하루하루

단풍이 울긋불긋 너무나 예쁘고 아름다운 계절입니다

봄 여름 가을겨울 사계절중 가을에 온산하를 울긋불긋 아름다운 색칠을한 가을은 정말 좋은 계절입니다. 은행은 노랑, 단풍나무나 빨갛게 물드는데 이렇게 다양하게 물드는게 뭐때문에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날다람쥐263
      호탕한날다람쥐263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뭇잎에는 녹색의 엽록소 외에도 빛을 흡수하는 색소로 70여 종의 카로티노이드가 있다고 합니다.


      이들 색소 가운데 흔히 볼 수 있는 게 붉은색 단풍을 만드는 카로틴이고 노란색을 띠는 색소는 크산토필입니다.


      나무마다 갖고있는 색소에 따라 단풍색이 다른것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온도가 내려가고 일조량이 적어지면

      나무는 추운겨울 이겨낼 준비를 하게 됩니다.

      나뭇잎을 떨어뜨려 얼어죽는 것을 방지 하는것입니다.

      잎은 나무의 수분과 에너지를 많이 머금고 있습니다.

      광합성을 하여 엽록소를 생성하기 위함 입니다.


      하지만 날씨가 추워지면 잎이 가지고 있는 수분으로 인해 얼게됩니다.


      잎이 얼면 줄기에까지 영향을 주어 동사를 당할수 있습니다.


      나무는 동사하지 않기위해 겨울이 다가오면 잎으로 가는 수분과 에너지공급을 멈추고 뿌리와 줄기에 영양분과 수분을 저장하게 됩니다.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한 잎은 광합성을 멈추게 되고 염록소 생성도 할수 없게 됩니다.


      엽록소가 없는 나뭇잎은 녹색을 띄지 못하게되어 나뭇잎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분들에 의해 빨간색,노란색,주황색등 여러가지 고유의 색을 나타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이 되면 잎에 있는 색소의 구성에 변화가 생겨서 다양한 색깔이 나타납니다. 겨울철 동면에 들어가기 위해서 나무들이 잎에 있는 영양분과 수분을 줄기로 흡수하고 줄기와 잎 사이에 탈락 층을 쌓아서 낙옆을 만듭니다. 낙옆을 만드는 과정에서 잎에 가장 많던 엽록소가 감소하면서 초록색이 점차 옅어지고, 초록색 아래에 숨겨져 있던 다른 색깔들이 겉으로 드러나면서 다양한 색의 잎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이 되면 공기가 건조해지게 됩니다. 나무 또한 수분 배출이 많아지는데 이를 방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광합성은 수분 배출이 심하기에 엽록소를 분해하여 광합성을 억제합니다.

      그렇기에 초록색이 사라지고 단풍이 들게 됩니다.

    • 나뭇잎이 원래 초록색인 이유는 기본적으로 엽록소가 초록색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엽록소는 광합성을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하지만 가을이나 겨울이 되면 광합성으로 얻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나무는 엽록소를 제거합니다.

      엽록소가 제거되면 초록색도 같이 제거되어 노랗거나 빨간 단풍이 되는데,

      노란색의 경우는 크산토필이라는 성분이 많으면 나타나게 되고

      안토시아닌이라는 성분이 많은 나뭇잎은 빨간색이 나타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