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장은 어떤방식으로 하수처리하나요?
설겆이하다가 생각났습니다 하수도로 내려간 하수는 어디로가는건지 궁금했고 저는 부산지역에 살고있어 생각해 보니 하수처리장으로 갈것같았습니다 그럼 하수처리장은 현재 화학적으로 정화하는것인지 정화이후 어디로가는지 궁금했습니다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하수처리는 총 5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침사지 및 유량조정조 - 모래나 흙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가라앉힙니다.
2. 최초침전지 - 가벼운 흙이나 작은 이물질을 가라앉힙니다.
3. 폭기조 - 공기를 넣어 미생물을 활성화 시켜서 오염물질을 미생물이 먹도록 합니다.
4. 최종침전지 - 맑은 물을 내보내기 전에 미생물을 가라앉힙니다.
5. 방류조 - 맑아진 물을 염소로 소독하고 다시 방류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시에서 물을 이용한 뒤, 하수 배제는 하수관거를 매설하여 각 가정에서 집수하고 이를 하수처리장까지 배수하며, 배제방식에는 분류식과 합류식의 두가지 방식임
합류식은 빗물과 가정오수를 한꺼번에 배출하는 재래식 하수관거 시스템이다. 하나의 관로로 배출시키므로 경제적이고 간단하기는 하나 관로에 이물질이 퇴적되거나 악취가 발생하며, 강우시기에는 하수처리장에서 생물학적 처리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강우유출수는 강우에 따라 유출되는 유량이 불균일하고 강우시에도 가정오수보다 유량변동이 커서 합류식 하수관거는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된다.
강우유출수의 혼입시 토사물질이 관거에 다량 유입될 수 있으므로 빗물 처리장까지의 도중에 우수토출실을 설치한다. 강우강도가 강한 시기에 우수에 의한 유량이 오수유량의 2~3배가 되면 하수처리장에 유입된 하수 중 처리용량의 이상의 하수는 방류수역으로 by-pass 시켜 처리 없이 방류시킨다. 최근 분류식 하수도의 보급으로 by-pass되는 양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수용 하천의 수질보호를 위하여 by-pass되는 하수도 1차 처리를 거쳐 방류하도록 개선해 나가고 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수처리장은 자연정화화 화학정화 모두 사용합니다.
우선 침사지 및 유량조정조에서 하수에 무거운 모래와 흙을 가라앉힙니다.
다음 침전지에서는 가벼운 흙과 이물질을 가라앉히고 농축조를 거처 폭기조로 이동합니다.
폭기조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다시 침전지로 이동 오염물질을 가득 머금은 미생물을 가라앉힙니다.
마지막으로 방류조에서 염소 등으로 소독과정을 거쳐 방류하게 됩니다.
간단하게 하수처리과정을 말씀드렸는데요, 하수처리장에 따라 유입되는 하수가 달라서 과정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