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멋진사슴143
멋진사슴14324.04.03

한국 인구는 줄어들텐데 부동산 가격 하락은 당연한거 아닌가요?

1-1. 저는 부동산 불패신화는 이제 출생률 저하 및 인구가 폭발적으로 줄어드는 대한민국 미래에서는 앞으로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1-2. 아무리 1인가구로 쪼개져서 핵가족으로 살아서 더 많은 공급이 필요하다는 얘기에도 불구하고, 정말 많은 아파트들과 재건축이 이루어지며 더 공급량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서울뿐만 아니라 인천만 해도 정말 많은 공급 물량이 쏟아지고 있죠.
그런데 건설사들이 바보는 아닐것 같은데 당장 공급해서 판매하는게 중요하니까 이렇게 미친듯이 짓는건가요?

1-3. 아무리 서울이 메가시티, 글로벌 top 10 인구라고 할지라도 서울 자체의 도시경쟁력 및 매력도, 줄어드는 인구 (앞으로 지방에서 서울로 몰린다고 하더라도 애초에 생산가능인구 자체의 표본이 작아지는 현상) 로 인해 과잉 공급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1. 그럴 수 있겠지만 빠지는 지역과 속도의 차이는 있겠지요.

    2. 지금 당장은 팔리니까 짓겠습니다.

    3. 먼 미래에는 그럴 수 있겠지만 적어도 질문자님과 제가 살아 있는 동안 그렇게(과잉공급으로 인한 대폭락) 될 가능성이 높아보이진 않습니다.

    물론 의견 차이는 있을 수 있으니 감안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1-1. 장기적으로는 인구감소는 수요감소의 요인이 되므로 충분히 가능한 부분으로 보입니다.

    1.2. 주택공급은 수요에 따라 바로 반응하기 어렵습니다. 부동산 특징상 현재 공급을 위해서는 이전 2~3년전에 이미 공사를 시작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공사중 경기가 어렵다고해서 진행중인 공사를 멈추게 된다면 그에 따른 손해도 크기 때문에 시장상황이 이렇다고 해도 예정된 공급이 줄지는 않습니다. 문제는 2~3년후 시장공급을 위한 주택건설이 현시점에서 이루어 지지 않으면 해당 시점이 올 때에는 주택공급부족이 이슈화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1-3. 공급도 결국은 소비자가 원하는 대상이 충분히 이루어질때 가격이 안정화됩니다. 서울에 단순 거주가능한 주택공급이 100%가 되더라도 사람들이 원하는 아파트, 그리고 입지등이 달라지면 새로운 공급이 또 될것이기에 단순한 인구감소 수치와 주택공급수치만을 가지고 과잉공급이라는 결론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