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석유를 생산해서 수출이 아닌 미국내에서 소비하나요?
석유를 생산 하는 국가들 중
가장 많은 양의 석유를 생산하는 국가가
사우디가 아니라 미국이더라구요
사우디가 석유로 유명해서
사우디가 생산량이 가장 많은 줄 알았는데
미국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러시아
3위가 사우디이던데
미국은 생산하는 석유들을 수출하는 목적이 아니라 자국내에서 소비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기업들에게
원가에 대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하는 건가요?
미국이 생산하는 석유는 미국 경제에서
어떤 용도로 쓰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석유는 미국 최대 수출 품목 중 하나로, 자국내에서도 사용하지만 수출도 많이합니다. 미국 내 소비되는 석유는 대부분이 산업용이고 나머지가 소비자(가정용)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석유 생산국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석유를 소비하는 국가이기도 합니다. 지동차, 항공기, 산업 등 전반적인 경제 활동 규모가 워낙 크기때문에 자국에서 생산되는 석유만으로는 모든 수요를 충당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셰일 혁명 이후 미국의 석유 생산량이 소비량을 상당 부분 상쇄하고 남는 양은 해외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5년 원유 수출 금지 조치가 해제된 이후, 미국은 주요 석유 순수출국으로 부상했습니다. 이로인해 미국은 국제 석유 시장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고 사우디나 러시아와 같은 전통적인 산유국들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원유의 품질(경질유/중질유 등)데 따라 필요한 원유를 수입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자국에서 많이 생산되는 특정 종류의 원유대신 정제소에 적합한 다른 종류의 원유를 수입하는 식입니다.
미국은 셰일 혁명을 통해 에너지 자립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중동 지역의 정세 불안정이나 유가 급등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저렴한 자국산 천연가스와 석유는 석유화학, 제조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기업들이 생산비용을 낮추는데 기여합니다. 특히 천연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석유화학 기업들은 중동이나 유럽의 기업들에 비해 원가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수송용 연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휘발유, 디젤, 항공유 등으로 정제되어 자동차, 트럭, 항공기 등의 연료로 사용됩니다.
공장의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이 되기도 하며 플라스틱, 비료, 합성섬유 등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석유화학 원료료도 사용됩니다.
일부 석유는 가정용 난방이나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하는데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세계 1위 석유 생산국이며 생산량 대부분을 자국 내에서 소비합니다. 수출도 하지만 댁슈모 내수 소비 때문에 생산량의 상당 부분은 국내용입니다.
에너지 자립 목표로 세일오일 확대하며 생산 -> 소비 구조가 강한 나라로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석유를 수출하기도 하고 본인들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충분히 많은 석유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수입을 하는 이유는 시간이 지속될 수록
본인들이 보유한 석유의 가치는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중동에게서 주도권을 빼앗아 올 수 있고 실제로 쉐일가스 덕분에
중동은 고속 성장에 제동이 걸렸고 미국은 더욱 강대국이 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석유를 많이 생산하는 건 맞습니다. 그런데 그걸 전부 국내에서만 소비하는 건 아닙니다. 미국도 수출 많이 합니다. 원유뿐 아니라 휘발유나 디젤처럼 정제된 석유제품도 많이 내보냅니다. 다만 미국은 워낙 에너지 소비량 자체가 커서 자급자족이 기본이고 수출은 여유분 위주입니다. 생산단가 낮추려고 일부러 소비한다기보단 자체 공급이 많아지니 수입 의존 줄이고 에너지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되는 구조입니다. 산업용 전력이나 운송 연료용으로 제일 많이 쓰이고요. 자국 안에서 쓰는 양이 워낙 많다 보니 수출국이면서 동시에 세계 최대 수입국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은 석유 생산을 해서 수출이 아닌 미국내에서 소비만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은 2015년 이전에는 원유 수출 규제가 있었지만
그 뒤로는 수출 규제가 사라지고 수출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게 가능해진 것이 바로 세일 오일 생산이 붐을 이루면서 가능해졌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생산하는 석유는 약 80~90%가 국내에서 소비됩니다. 주로 휘발유 등 자동차 연료, 항공유, 경우, 석유화학 연로, 난방과 산업 에너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미국은 세계 최대 석유 소비국이자 생산국 입니다. 에너지 안보와 산업 활성화, 가격 안정, 경제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출 비중도 증가했지만 내수 소비가 압도적으로 큽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미국에서는 자국에서 생산되는 석유를 자국에서 소비하였으며 이마저도 부족해서 중동이나 남미와 같은 베네수엘라등에서 수입을 했습니다.
그러나 2010년이후 셰일가스와 셰일오일붐이 일어나면서 지금은 미국이 석유생산량 자체는 세계1위입니다 즉 셰일가스로 지금도 천정부지로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고 이로 인해서 전세계로 셰일오일과 셰일가스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떄문에 미국에서 동아시아국가들에게 LNG 즉 천연가스를 사가라고 압박하는게 바로 다 이런 개발과정에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기준 미국의 하루 원유 소비량(석유 수요)은 약 2,800만 배럴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2025년 미국의 하루 원유(석유) 소비량을 약 2,793만 배럴로 예측하고 있습니다3.
이는 세계 최대 원유 소비국답게, 미국이 자국내 생산량(약 1,340만 배럴/일)과 원유 수입(약 610만 배럴/일) 등을 모두 활용하여 내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정리하면, 2025년 현재 미국의 하루 원유(석유) 소비량은 약 2,800만 배럴로, 전 세계 원유 시장의 주요 소비 비중을 차지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에도 해당 석유를
에너지원으로 활용도하며 남은 양은
수출도 하기도 하고 더불어서
비축하기도 하는 등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