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의 변동성이 환율에도 영향을 줄 수 있나요?
국내증시의 변동성이 커진다는 것 자체가
환율 더 올라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나요?
국내증시의 변동성이 커지니 여러곳에서
환율의 1500원 가능성까지 언급되고 있던데
증시의 변동성과 환율의 상승은 어떤 연관성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환율에도 영향을 주나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충분히 연관성이 있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 많이 들어왔기에
변동성이 커지면서 높게 상승하게 되면
그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을 하고 다시 달러화로 빠져나가기에
환율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임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은 해당 통화의 수요=공급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쉽게 우리나라에 외국인(달러베이스) 투자자가 원화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투자한 자금이 있다고 가정해봅니다.
그런데 국내주식시장 고점 시그널이 나오고 미국 주식시장의 메리트가 점점 커져서 한국 주식시장에 있는 자금을 미국주식시장으로 쉬프트 한다고 할때, 원화를 팔아서 달러화를 사게 됩니다. 그러면 자연스레 원화 통화가치는 떨어지고 달러화 통화가치는 올라가겠죠. 즉 외국인투자자가 국내주식시장에 매력을 더 못느끼고 이탈된다면 원화가치가 많이 떨어지겠죠(원/달러 환율 상승)
반대의 경우라면 원달러 환율이 내려오겠죠. 원화의 수요가 커지니까요.
모든 Pricing은 수요-공급 관계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됩니다.
이번 한-미 관세협상 내용 중 대미 투자 금액이 어느 정도 결정이 되었습니다.
그러면 우리나라에서 보유한 달러로 투자하면 문제가 없겠지만 원화를 팔아서 달러화를 대량으로 사게된다면 외환시장에 바로 영향이 오겠죠.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 외국인 자금이 이탈해 환율 상승 압력이 생깁니다.
특히 코스피 급락 시 달러 수요가 늘어 원화 약세가 나타납니다,
즉, 증시 불안은 달러 강세,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증시 변동성 확대는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출입에 영향을 주어 환율 변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로 증시 불안 시 원화 가치 하락과 달러 강세로 환율 상승이 연계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아요, 일반적으로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는 건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졌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거나 시장에 대한 확신이 줄어들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주식 투자를 줄이고 원화를 달러로 바꿔 본국으로 자금을 회수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이때 달러를 찾는 사람이 많아지니 원/달러 환율이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