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해바라기는 어떻게 해를 따라 꽃이 움직이나요?

안녕하세요? 해바라기는 해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같이 움직이던데요~이것때문에 해바라기라고 한거 같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해를 따라 꽃이 움직일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해바라기가 해를 따라 움직이는 현상은 일중성운동 또는 헬리오태시즘이라고 부르며, 주로 해바라기의 어린 꽃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해바라기의 성숙한 꽃은 일반적으로 항상 동쪽을 향하게 되어 있어서 해가 뜨는 동쪽을 향한 채로 고정됩니다. 해바라기가 해를 따라 움직이는 것은 꽃대의 기부에서 발생하는 성장 호르몬(옥신)의 불균등한 분포 때문입니다. 해가 비추는 방향에 따라 옥신의 분포가 조절되어, 광선이 적게 닿는 쪽(그늘진 쪽)의 세포들이 더 빨리 성장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꽃대가 빛을 받는 방향으로 기울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해바라기가 해를 따라 움직이는 현상은 식물의 흥미로운 생물적 반응 중 하나로, 이는 주로 '굴광성'이라고 불리는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해바라기는 특히 '양성 굴광성'을 보이는데, 이는 식물이 빛을 향해 자라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해바라기의 생장호르몬인 옥신의 분포에 의해 조절됩니다.

    해바라기의 줄기에는 빛에 민감한 옥신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해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할 때, 해바라기의 줄기에서는 빛이 닿는 쪽과 그렇지 않은 쪽의 옥신 농도가 달라집니다. 빛을 직접 받는 쪽의 옥신 농도는 낮아지고, 반대쪽은 높아집니다. 옥신은 세포 신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옥신이 더 많이 분포된 그늘진 쪽의 세포가 더 많이 성장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해바라기의 줄기는 빛을 받는 방향으로 굽어지며 해를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특히, 해바라기의 어린 꽃봉오리 단계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낮 동안 해를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며, 밤에는 다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다음 날의 해를 맞이할 준비를 합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일주기성 운동'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 내부의 생체 시계에 의해 조절됩니다. 생체 시계는 약 24시간 주기로 동작하며, 이를 통해 해바라기는 밤에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바라기가 성숙하여 꽃이 완전히 피면, 더 이상 해를 따라 움직이지 않습니다. 성숙한 해바라기는 일반적으로 동쪽을 향해 고정되는데, 이는 꽃이 피어난 후에는 벌과 같은 꽃가루 매개자들이 동쪽에서 오는 아침 햇살을 받아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해바라기는 생애 주기 동안 다양한 이유로 빛을 따라 움직이거나 특정 방향으로 고정되는 독특한 행동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줄기가 햇빛쪽을 향하는 현상을 굴광성이라고 합니다. 해바라기는 줄기가 얇은 어린시기에 해를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햇빛의 자극과 분자적 메커니즘으로 줄기의 생장이 조절되어 해당 성질이 나타나게 됩니다.

  • 해바라기의 이러한 움직임은 '햇빛주성'이라고 불리는 현상 때문입니다. 어린 해바라기 식물의 줄기에는 빛에 민감한 호르몬인 옥신이 있어, 햇빛을 받지 않는 쪽의 줄기가 더 빨리 자라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식물이 햇빛 쪽으로 구부러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숙한 해바라기의 꽃은 실제로 태양을 따라 움직이지 않고, 대부분 동쪽을 향해 고정되어 있습니다. '해바라기'라는 이름은 이 어린 시기의 특성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추가 정보가 필요하시면 말씀해 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바라기는 해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꽃이 움직이는 것은 맞습니다. 이것은 해바라기의 생물학적 특성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해바라기는 해를 따라서 꽃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해의 위치에 따라서 꽃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해바라기의 꽃은 해가 뜨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는데 이는 해바라기의 꽃잎이 해를 향하도록 자연스럽게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해가 서쪽으로 움직이면서 꽃잎도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해바라기의 꽃은 항상 해를 향하고 있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해바라기의 꽃잎에 있는 세포들이 빛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세포들은 빛을 감지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해의 위치에 따라서 꽃잎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그리고 해바라기의 꽃잎은 해를 따라서 움직이는 것뿐만 아니라 해가 지면서도 꽃잎의 방향을 조절합니다. 이는 해가 지면서 빛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꽃잎이 더 많은 빛을 받기 위해 움직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바라기의 꽃이 해를 따라서 움직이는 것은 꽃잎의 빛 감지 능력과 해의 위치에 따라서 꽃잎의 방향을 조절하는 능력이 결합하여 가능한 것입니다. 이러한 해바라기의 특성은 자연의 아름다운 신비로 이어지며 우리에게 끊임없는 감동을 선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해바라기가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가며 꽃의 위치를 바꾸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는 해바라기가 시계처럼 24시간 성장주기를 갖기 때문인데요, 어린 해바라기는 자체적으로 24시간의 성장 주기를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곗바늘이 도는 것처럼 꽃이 해를 따라다닌다는 것입니다. 즉 해가 동쪽에서 떠올라 서쪽으로 지는 낮에는 해바라기의 동쪽 부분이 더 자라나 자연스레 꽃이 서쪽을 향해 기울도록 만들며, 반대로 밤 동안에는 서쪽 부분이 더 자라 꽃이 동쪽을 향하게 해 일출을 맞을 준비를 한다는 것입니다. 이때 해바라기는 시간대에 따라 성장을 더 시키고 싶은 부분에 세포를 더 투입해 이 같은 결과를 이끌어냅니다. 반면에 다 자라나 이제는 더 이상 해 쪽으로 방향을 틀기 어려운 해바라기는 꽃의 방향을 동쪽으로 아예 고정시킵니다. 감사합니다.

  • 해바라기가 해를 따라 움직이는 것은 사실 꽃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줄기가 움직이는 것입니다.

    해바라기의 줄기에는 옥신이라는 식물 호르몬이 있는데, 낮에는 줄기 동쪽 면에 옥신이 더 많이 모여 서쪽을 향해 기울고, 밤에는 서쪽 면에 옥신이 더 많이 모여 동쪽을 향하게 됩니다. 이렇게 낮에는 해를 따라 움직이고 밤에는 동쪽을 향하는 것을 반복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어린 해바라기에만 나타납니다. 꽃이 크게 자라면 무거워져서 줄기가 움직이기 어려워지고, 결국 동쪽을 향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