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예전 초등학교때 담임선생님이 그당시에

많이무서웠거든요 초기에오자마자 애들이 조금만 떠들면 진짜심하게 때리고..전혀 그러지않았는데도 여자애들중에도 조금 놀게보이면 뺨심하게때리고 저는등짝조금 맞았어요..선생님이 애들한테왜그렇게 심하게한걸까요 과하다싶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채수환 초등학교 교사
    채수환 초등학교 교사
    조남초등학교

    안녕하세요.

    그 당시 선생님이 과도한 체벌을 사용한 이유는 자신이 규율을 강하게 유지하려 했던 것으로 보이고, 그 당시에는 문제 의식을 크게 느끼지 못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물리적인 체벌은 아이들의 정서적, 정신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요즘은 교육 현장에서 금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경험이 적거나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과중한 상황에서 일부 교사들은 학생들을 통제하기 위해 과도한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초기에 학생들과의 관계를 형성할 때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과거에는 교육엣어 권위적인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교사들이 규율을 엄격하게 유지하려고 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교사나 새로운 학급에서 초기에 자신을 확립하려고 할 때 강한 규율을 통해 자신의 지위를 세우려고 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과거 체벌이 훈육으로 여겨지던 시기가 있었지만, 과도한 행동은 스트레스나 잘못된 지도 방식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당시 체벌이 훈육으로 여겨졌던 시기였지만, 과도한 체벌은 선생님의 스트레스나 잘못된 통제 방식 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예전의 교육적인 관념은 권위주의적인 교육방식이 일방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선생님이 권위자로 여겨지고 그에 따라 엄격한 규율을 통해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 정당화 되었으며 체벌이 교육적 효과로 가져온다고 믿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부모님들 또한 선생님들의 교육방식이나 체벌에 대한 행동에 대해 민원을 넣거나 강력하게 대응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이 혼내고 때리고 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시대가 변화면서 교육철학이나 아이들의 권리와 정서적 발달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고 부모님들 또한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대응을 하기 때문에 선생님들도 아이들을 함부로 때리는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예전에는 폭력이 정당화하던 시대입니다 그래서 지금으로서는 상상도못할 폭력을 인정해주는 것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그 당시 담임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그렇게 심하게 행동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과거에는 엄격한 교육 방식이 많이 있었고, 특히 체벌이 일반적으로 용인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당시 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질서와 규율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졌고, 이를 위해 체벌이 정당화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이러한 방법이 교육적으로 부적절하며, 학생의 감정을 존중하고 폭력적인 방법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교육이 발전해왔습니다.체벌이 흔히 사용되던 시대에는 '학생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체벌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습니다. 물론 그것이 올바른 교육 방식은 아니었지만, 당시 사회와 교육 환경에서는 권위적인 방식이 지배적이었던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교육이 발전하면서 체벌을 통한 교육은 점차 사라졌고,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과 존중을 바탕으로 한 교육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 당시의 선생님이 그렇게 심하게 행동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학생들에게 신체적인 체벌을 가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었습니다. 다만, 당시 교육 환경과 문화가 그런 방식을 용인했을 가능성도 있으며, 현재는 그런 교육 방식이 지양되고 학생들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 경험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면, 현재의 교육 방식은 학생들의 존중을 바탕으로 하므로 더욱 안전하고 긍정적인 환경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드린 답변이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었기를 진심으로 바라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