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늠름한참밀드리146
늠름한참밀드리146

하이프루프 우리나라에 상용화가능한가요?

우리나라는 면적이 좁고 도시마다 정착역에 정차한다면 하이퍼루프의 장점을 살릴 수 있을까요?

그리고 하이프루프건설할 공간도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속력이 뛰어나서 고속전철처럼 역 간격을 좁게 하면 최고속도에 도달하기도 전에 감속을 해야하는 문제점은 해결될 것으로 보이지만 감속에 대한 부분에 내용을 찾을 수가 없네요.

      고속철의 경우 감속하는 거리만해도 수킬로미터 전부터 시행을 하니 감속 부분도 단거리에서 된다면 여러역에 정차하고 빠른 속도의 이동수단이 될 수 있음은 분명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도시마다 선다면 하이퍼루프의 장점을 살리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주 먼거리인 서울에서 전라도, 서울에서 경상남도와 같은 거리를 이동할 때에는 장점을 살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이퍼루프는 아직 개발 단계이며 상용화되기에는 조금 더 기다리셔야할 듯 합니다.

      하이퍼루프의 목표 속도는 시속 1,200km 이며 진공관을 통해 이동하는 기차로 개발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공기 저항, 마찰을 최소화하여 굉장히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죠. 빠른 속도로 추진력을 얻는 원리자기부상열차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석의 극을 이용해 끌어당기거나 미는 힘을 작용해 가속, 감속을 하는 것입니다. 이때 단순히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전자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자성을 갖게 만드는 것이죠. 또는, 초전도체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하이퍼루프에 대한 과학 기술력이 부족한 것은 아닙니다.

      기술과 자원이 하이퍼루프를 개발하는데 사용된다면 우리나라도 상용화 가능하겠으나,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상 작은 영토에 고밀도의 사람이 모여있으므로 효율이 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산이많은 지형이라서 길을내기에 많은 공사비용이 들어갑니다.


      하이퍼루프의경우 빠르긴하지만 그만큼 화물이나 인간수송능력이 기차보다는 호율이떨어지는 에너지가 들어가기때문에 굳이 만들 이유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