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남다른오색조192
남다른오색조192

건강검진 폐기능/폐활량 테스트를 측정할 수 없으면 문제가 있는건가요?

제가 건강검진을 1~2년전에 받을때 폐기능/폐활량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어떤 기구를 입에 물고 길게 후 불으면 그것이 그래프가 되어 측정할 수 있는 것이였는데요. 다른 분들은 거의 다 무리없이 잘 측정했는데 저만 부는 것을 길게 유지를 못하여 측정 자체가 안된다고 하시더라구요ㅠ

담배도 한번도 펴본 적도 없고, 어렸을 때 폐렴을 잠깐 앓았던거 빼고는 운동도 곧 잘했는데.... 왜 그럴까요?

측정을 자체를 못하면 문제가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폐기능 검사 자체가 쉬운 검사는 아니기는 하니다. 주로 노인 분들은 검사 자체를 힘들어 하셔서 못하는 경우도 있지요. 물론 폐기능 검사를 다 마치지 못할 정도로 페활량이 떨어져 있다고 판단을 할 수도 있겠지요. 특별히 폐와 관련하여 불편한 증상이 없으시다면 앞으로 열심히 운동을 하셔서 폐활량이 좋아지도록 노력을 하시면 될 듯 합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폐기능 검사를 하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검사를 통해 폐 기능의 전반적인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본인이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측정이 불가할 정도로 폐활량이 낮으시다면 폐질환은 없는지 다른 검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호흡기 내과 내원하셔서 진료 보시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연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측정자체를 못하신건가요?

    정상적으로 협조가 되셨으면 길게 못 부셨어도 그자체로도 검사결과는 나왔을텐데요..

    그 검사결과에 대해 설명을 듣지도 못하셨나요?

    검사를 하시면 그래프의 모양에 따라 결과를 판단을 하게 되고, 그것을 토대로 환자분의 상태를 파악을 하게 됩니다.

    보통 병적인 경우라면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 같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폐쇄성질환이 있을 수 있고,

    간질성 폐질환 같이 폐가 충분히 확장을 하지 못하는 제한성질환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이나 신경계쪽의 문제가 있어 호흡이 잘 안되는 경우도 있구요.

    측정이 힘든 정도라면 평소에 숨이 차거나 호흡이 힘들다는 느낌이 있으실텐데 이상하네요.

    한번 호흡기내과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고 필요하다면 검사를 다시 받아보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