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상냥한당나귀216
상냥한당나귀216

안녕하세요 아는형님이 좀 성향이 감정적으로 이상해서요

성별
남성
나이대
49

아는 형님이 감정적으로 너무 이랬다ㅠ저랬다 하다가

좀 많이 심각하긴한데

첨보기엔 감정이 있어서 사이코패스는 아닌거 같은데 소시오패스같기도한데

화재때문에

소방관이 고생한다라고 하는데

난 좀 저런거보면 이상한게

돈받고 하는 걸..구지

그게 무상자원봉사여야지 박수받을일 아닌가

?

난 사이코인가

이거뿐만아니라 많이 여자에 미친것도 많이 심하고 한달동안 앱에서 만나기도전에 사랑에 빠졌다가 순수한척하면서 여자들을 꼬실려고하는데 행동하는게 순수를 말하면서 이상한 짓을 많이 해서 다 차입니다

10개월동안 앱으로 알고지내고 혼자 사랑한 여자만해도 200명도 되는데

만나기전에는 애인처럼 말하고 자랑하다가 만나는날 백퍼차입니다

제가 볼때 싸패5% 소시오패스95인거 같아요 정신분열도 심합니다

이거말고도 여자가 자기마음 안알아주면 카톡으로 웃으면서 사랑한다하면서

언론에 비밀을 뿌린다고 말하고 차단할때까지 계속 그렇게 놀고

자기가 피해볼거같은사람한테는 카톡 협박도 못하고

정신분열같기도하고 이거 증상이 뭘까요

병원으뉴절대로 갈사람은 안되고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아는 형님의 행동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기복과 극단적인 반응은 정서적 불안정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감정조절의 어려움이나 자아의 불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때때로 정신 건강 문제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특히, 극단적인 사랑 표현과 빠른 관계 변화를 반복하는 행동은 자기중심적이고 충동적인 특성을 보일 수 있으며, 대인 관계에서의 갈등이나 문제가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라는 용어는 자주 오해되기도 하는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반사회적 인격장애(소시오패스)나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성격을 지닌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정신과 의사의 평가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감정적으로 냉담하고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반복된다면, 이는 심리적 문제나 정신적 불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특성이 일시적일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의사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해요

    마지막으로, 이러한 행동들이 계속해서 반복되고 심화된다면 심리적인 문제나 정신 건강의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그가 정신적 분열을 겪고 있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있다면, 의사의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병원에 갈 의향이 없다면, 주변 사람들은 그가 변화할 의지가 없다면 그와의 거리를 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신의 정신적 건강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결정이 될 수 있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질문자분이 걱정하고 있는 친구의 성향이 감정적으로 많이 불안정하다고 느껴집니다. 친구의 행동이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 같은 성향을 가진 사람의 특징과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단순히 몇 가지 행동만으로 그 사람의 전체적인 성향이나 정신 건강 상태를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이러한 행동들이 감정의 기복이나 관계에서의 문제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사람의 행동과 감정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종종 개인의 경험, 주변 환경, 성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는 결과일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친구가 자신을 피해자로 여기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에 둔감하게 반응할 때, 이런 부분에서 소시오패스 성향과 비슷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또한 전문가의 상담과 평가 없이 성급하게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여성 관계에서 보이는 행동 역시 개인의 심리적 상태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연애나 관계에서의 불안, 낮은 자존감, 사랑받고자 하는 강한 욕구 등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주 차이는 이유도 본인의 행동이나 태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친구에게 필요한 것은 주변 사람들의 이해와 조언입니다. 하지만 친구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이나 상태에 대한 인식을 갖고 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친구가 병원에 가기 어렵다면, 주변에서 이해는 하되 명확한 경계는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불쾌한 상황에 대해서는 분명히 거리를 두고, 자신을 보호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 문제는 한 번에 해결되기보다는 시간과 많은 대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