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를 산정하는 기준에는 어떤 항목들이 있나요?
사람마다 소득에 따라서 건강보험료를 내는 것에도 차이가 있더라고요.
이게 단순히 소득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가 아니라 같은 소득임에도 건강보험료를 내는 것에 있어서 조금의 차이가 있는 것 같더라고요.
건강보험료 산정하는 기준에는 어떤 항목들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주로 소득에 의해서 기준을 잡긴 하지만 재산과 부양가족 수도 건강보험료를 산정하는 것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또한 직장 소득외에 추가 소득이 있으면 그것도 포함이 되서 산정될 수도 있지요.
만약 소득에 비해 건강보험료가 과도하게 납부된다면 상세내역을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설명해주실 겁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는 연봉에 따라 차등되어 지불하게 됩니다
일부 보험료가 달라지는 이유는 근로소득 외에 다른 소득이 있다면 조금 더 보험료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직장인가입자의 경우 건강보험료 산정은, 1. 보수월액보험료: 보수월액 X 보험료율, 2.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 보수 외 소득월액 X 보험료율로 정해지는데요.
먼저, 1. 보수월액은 직장가입자가 지급받는 보수를 기준으로 산정하고, 보험료율은 1만분의 709로 합니다.
2.소득월액은 직장가입자의 보수 외 소득월액은 보수월액의 산정에 포함된 보수를 제외한 직장가입자의 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다음의 계산식에 따른 값을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평가하여 산정합니다.
√ (연간 보수외소득 ― 2000만원) x 1/12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건강보험료 산정하는 기준에는 어떤 항목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가입자의 자산 상황과 소득 상황으로
보험료 산정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건강보험료는 소득을 베이스로 산정되긴 합니다만 추가 영향 요인들이 있습니다. 소득 수준, 직장 여부, 재산, 자동차 보유 여부 등에 영향을 받아서 결정됩니다. 가족구성원 및 피부양자 여부도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