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착함 멋진 봉이(--)(__)
착함 멋진 봉이(--)(__)

저희집어린이 성격이 돌아올까요?

사춘기 전까지만 해도 너무 적극적이고

어디가면 도전하려고 하고

뭘가르쳐도 진짜 본전생각은 커녕 이건 돈을 더내야할정도 열정적이었거든요

근데 사춘기 넘어가면서 애가 의기소침해졌고

방안에만 있으려고 하고

뭐든 자신없어하고

안하려고하고

사춘기 같은데 고민이 많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사춘기가 오면 변화가 일어날수있습니다.

      평소와 다른 모습에 대해서 아이와 이야기를 하거나 편지를쓰거나 하면서 서로간의 소통을 늘려가면서 고민을 나누어보시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많은 사춘기 아이들의 공통된 특성입니다. 자신만의 동굴로 들어가려고 하죠. 다그치거나 화내지 마시고 아이가 편한 시간적 여유를 주며 기다려 주는게 좋아요. 아이의 이야기에 경청해주고 공감해주는게 좋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이해하려는 부모님의 태도가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라고해도별다른영향없이갑자기180도변화하진않기에

      주변환경에 큰영향을미친것이있다면수정하는게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불안함과 스트레스를 풀어주셔서

      아이를 예전으로 돌려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감정의 변화가 많아서

      변했을 수도 있고 아이와 대화를 통하여

      아이의 맘을 달래주시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찾아오면, 아이들 대부분이 글의 내용대로, 자신들의 방에서 나오려고 하지 않으며

      자신감도 없고, 자존감도 약하고, 부모와 말도 하지 않으려고 하는 성향이 있답니다

      이럴 땐, 여행을 떠나거나, 아이에게 힐링 할 시간을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마음껏 쇼핑을 하게 하는 등, 아이들에게도 돌출구가 있어야 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시기에는 호르몬 분비의 영향으로 아이의 성향 자체가

      바뀌었다고 생각하시는 부모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호르몬

      분비로 인해 강제되는 부분이라고 합니다. 일정 시기가 지나면 아이가

      원래 모습을 되찾는 경우가 많아지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아이와 대화를 자주

      시도하려고 노력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네 성장하는시기의 아이들은 사춘기를 겪고나면 한층 더 성장한 아이가 될겁니다. 걱정마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성격은 자신이 변하고자 하는 마음을 단단히 먹고 자신 스스로 고쳐야 합니다.

      즉, 사춘기 라면 자신의 성격을 변하고자 하는 의지와 마음을 먹는 시기이기도 하기 때문에 아이 스스로 변하고자 하는 의욕이 생겨 나야 합니다.

      지금은 아이와 대화를 나누면서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 주시고 아이의 마음을 돌봐주시면서 아이에게 “넌 충분히 해낼 수 있어” 라는 긍정적인 메세지를 자주 전달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급한대로, 아이들이 사춘기가 되면, 의욕적인 것도 없어지고, 혼자만 지내려고 하는 데,

      부모가 아이에게 더 따뜻하게 대해 주시고, 사랑을 듬뿍 주셔서 이 시기를 지혜롭게 헤쳐 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연스럽게 독립심을 키워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평소 아이와 공감대 형성을 해주셔서 대화를 충분히 나눌 수 있도록 해주셔서

      아이가 어떤 부분에서 위축되고 자신이없는지 파악해주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가정에서부터 식사준비, 심부름 등 아이가 가정에서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주신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