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을 만들때 가사의 전달도 중요하다고 하는데 가사의 전달은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음악을 만들때 리듬,음정도 중요하지만 가사의 전달도 중요하다고 하는데, 음악의 가사 전달은 어떻게 해석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
음악에서의 가사의 전달의 중요성은 말 할 필요가 없이 중요한 사항입니다 특히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요하지 않고 관객에게 소리와 가사를 전달해야하는 오페라나 성가곡에서는 어느 장르보다 중요한데 유행가는 마이크를 사용해 녹음 하기에 클래식 보다는 가사 전달이 쉽지만 오페라나 가곡은 대중가요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발성 테크닉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많은 성악을 전공하는 성악도들은 반드시 유학을 다녀와야 제대로 된 발성에 관객에게 전달되는 노래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유학을 간다고해서 모두가 다 성공하는것이 아니고 천명당 1명도 되지않는 바늘구멍 같은곳으로 유학을 다녀오는것입니다 그러므로 무조건 유학을 가지말고 가능성을 타진한 후에 유학을 가는것이 중요하고 타당하다고 생각되네요 내가 미국으로 유학을 간197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미국과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로 유학을 간 성악도가 5천명이 넘었지만 실제로 성악가로 이름을 내 놓은만한 성악가는 다섯 손가락안에 있을정도입니다
안녕하세요. 양재영 전문가입니다.
음악에서 가사를 해석할 때는 다음 요소들을 고려하면 좋습니다:
주제와 메시지
: 가사가 전달하는 핵심 메시지를 파악합니다.
문맥과 스토리
: 가사의 흐름과 이야기를 살펴봅니다.
감정 표현
: 단어 선택과 발음, 억양 등을 통해 감정을 느낍니다.
리듬과 가사
: 가사와 리듬의 조화를 분석합니다.
비유와 상징
: 은유와 상징적 표현을 이해합니다.
문화적 맥락
: 곡의 배경과 시대적 요소를 고려합니다.
이렇게 가사를 다각적으로 분석하면 음악의 의미를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우선 가사 전달을 하기 위해서는 가수가 발음이나 여러가지 발성을 잘해야 하는 부분도 있지만
가사를 쓰는 작사가의 역량도 아주 큽니다.
작사가가 어렵게 가사를 쓰거나 하는경우에 아무리 가수가 잘해도 전달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가수의 또렷한 발음이나 단어 하나하나 포인트를 살려서 하는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