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24.01.22

여름에 비해 겨울의 기온은 왜 자주 변할까요?

여름의 기온은 비가 오지 않는 한 계속 덥다가 가을이 올 때 즈음 기온이 꺾이는데 겨울은 3한4온이니 하는 식으로 며칠은 춥다가 또 풀립니다. 여름에 비해 겨울의 기온은 왜 자주 변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 변화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서 기쁩니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 변화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 그리고 태양의 각도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에는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더 많은 열을 받게 되는데 이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으로 인해 태양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여름에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이 많아져서 기온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겨울에는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덜 열을 받게 되는데 이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으로 인해 태양과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겨울에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이 적어져서 기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여름과 겨울의 기온 변화를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 변화는 지구의 자전축의 기울기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약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의 각도도 계절에 따라 변화하게 됩니다. 여름에는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을 향하고 있어서 태양의 각도가 더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이 더 많아져서 여름의 기온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겨울에는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에서 멀어져서 태양의 각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이 적어져서 겨울의 기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여름과 겨울의 기온 변화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 그리고 태양의 각도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이 여름과 겨울의 기온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 비해 겨울의 기온이 자주 변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때문입니다.

    첫째,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같은 양의 태양 에너지가 더 넓은 면적에 퍼지게 되어 지표면으로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기온이 낮아지고, 기온 변화가 심해집니다.

    둘째, 고기압과 저기압의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입니다. 겨울에는 고기압과 저기압의 활동이 활발하여 기압계가 자주 변합니다. 고기압이 지나가면 기온이 올라가고, 저기압이 지나가면 기온이 내려갑니다. 따라서 기온 변화가 심해집니다.

    여름에는 태양의 고도가 높고, 고기압과 저기압의 활동이 비교적 덜 활발하기 때문에 기온 변화가 겨울에 비해 적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은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잖아요. 겨울이라고 해서 날씨가 변덕스럽게 변하는 것은 아니고 겨울은 기온이나 습도가 낮고 바람의 영향으로 조금만 온도 변화가 있어도 우리가 느끼는 온도는 다르게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는듯 합니다.

    겨울철에는 일반온도와 체감온도를 동시에 발표 하잖아요. 같은 온도이지만 몸이 받아 들이는 온도는 바람의 영향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듯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삼한사온은 시베리아 고기압의 확장과 약화의 주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겨울 우리나라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시베리아 고기압은 바람의 영향으로 인해 세력이 확장되고 약화되는 주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부 아시아에서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되는 3일은 춥고, 약화되는 4일은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적게 받아 상대적으로 따뜻한 날이 되기에 3한4온이 발생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