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까지 거리는 걸어어 15분정도 거리입니다
초등학생들은 학교의 등하교를 몇학년까지 같이
해주는것이 좋을까요? 물론학원에 보내면 학원에서
픽업을 해주긴하지만. 그렇지않다면 언제까지해야.할까요?
만약 등하교 시 안전이 확보된 상황이라면 15분 정도의 거리라면 혼자서 걸어다닐 수 있도록 격려해주는 것도 필요해보입니다. 요즘은 가방에 부착하는 아이알리미 서비스도 있습니다. 그리고 휴대폰 어플을 이용해서 아이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함께 등원을 할 수 있는 친구가 있다면 더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등하교를 시켜주는 학년은 부모님의 생각과 자녀의 의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아직 혼자서 등하교를 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시기이므로 대부분의 부모님들이 등하교를 시켜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일부 학생들은 스스로 등하교를 할 수 있지만, 여전히 부모님이 데려다 주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특히, 교통이 혼잡하거나 통학로에 위험 요소가 많은 지역에서는 부모님이 등하교를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의 의사: 자녀가 혼자서도 등하교를 할 수 있다고 느끼면 독립심을 키우는 차원에서 스스로 등하교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자녀가 불안감을 느끼거나 어려움을 겪는 경우에는 부모님이 계속해서 등하교를 시켜줄 필요가 있습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부모님과 자녀가 함께 상의하여 적절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으며, 자녀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독립적인 등하교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학교까지의 거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아이가 혼자서 갈 수 있는 길의 코스이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중간중간에 도로를 많이 건너야 된다면 아이들에게 위험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무조건 인솔을 해주셔야 될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서 꼭 지켜주셔야 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에는 고령 운전으로 사고도 많이나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걸어서 15분 정도의 거리라면 1학년때 까지만 등하교를 같이 해주셔도 좋을듯 합니다.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한 아이들은 아직 길을 안전하게 건너는 법이나 위험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1학기나 1년정도는 아이와 함께 등하교를 하면서 안전하게 가는 방법이나 여러상황들에 대해 대처방법을 가르쳐주고 아이가 혼자서도 충분히 등학교를 할수 있다고 생각이 들거나 준비가 될때 혼자등하교를 할수 있도록 해도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학교에서 일하다 보면 보통 1학년 아이들은 초반에 입학을 하고 서 부모님들께서 등교,하교할 때 함께 동행하십니다. 그러다가 점차 아이가 길에 익숙해지게 되면 1학년1학기 후반이나 1학년2학기 중에는 아이들 혼자서 등교하교를 시작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집에서 걸어서 15분정도이면 걸어서 등교할수있습니다 다만 초등학교 1,2학년은 부모님이 같이 가주시는게좋고 3학년부터 혼자가는 연습하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함께 가는 친구들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초등학교 고학년이더래도 부모님이 함께 가는 것이 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