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있나요?
손톱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있을까요?
손톱은 왜 딱딱할까요? 그리고 왜 이렇게 생겼나요? 계속계속 자라는 이유는 무엇이고 어떻게 생겨난걸까요?손톱은 생각보다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손톱은 손톱의 가장 단단한 부분인 손톱판, 손톱판 아래의 피부 조직으로, 혈관과 신경이 분포되어 손톱에 영양을 공급하는 손톱바탕질, 손톱이 생성되는 부분인 손톱뿌리, 손톱뿌리 바로 위에 보이는 하얀색 반달 모양 부분인 손톱반달, 손톱의 양쪽과 위쪽을 감싸는 피부 주름인 손톱주름, 손톱판과 손톱바탕질을 연결하는 조직인 손톱밑상피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손톱이 딱딱한 이유는 구조 때문입니다. 손톱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케라틴은 매우 단단하고 질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손톱의 중간층은 고밀도의 케라틴이 가로 방향으로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어 더욱 단단한 것입니다.
그리고 손톱은 손가락 끝을 보호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손가락을 보호하고 물건을 잡거나 섬세한 작업을 할 때 손가락 끝을 지지하고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손톱이 계속 자라는 이유는 손톱뿌리에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손톱 세포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새로 생성된 세포는 기존의 세포를 밀어내며 손톱판을 앞으로 이동시켜 손톱이 자라게 합니다. 다만, 손톱의 성장 속도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톱은 손가락 말단 부위에 붙어 있는 반투명의 단단한 케라틴 판입니다. 손과 발의 보호 기능뿐 아니라 촉감을 구분하는데 도움이 되며, 물건을 집는 것과 같은 손, 발의 기능 수행에 도움을 줍니다. 손톱은 두께가 약 0.5mm으로 단단하고 투명한 직사각형 모양이면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데요, 성분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며, 손톱의 뿌리 부분 아래에 손톱을 자라게 하고 생성시키는 모체세포가 있습니다. 특별한 장해가 없는 한 손톱은 계속 자라며, 영양 공급에 따라 표면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손톱은 뿌리 쪽에 있는 모체 세포가 죽은 각질이 밖으로 밀려 나가며 형성되는데요, 손을 많이 쓰면 뿌리에 자극이 자주 가해져 이곳으로 가는 혈류가 늘고, 모체세포로 영양성분도 잘 공급됩니다. 이에 모체세포 분열이 활발해져 손톱 성장 속도가 빨라집니다.
손톱은 주로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딱딱한 구조는 이 단백질이 층층이 쌓이고 결합하면서 형성된다. 손톱은 네일 플레이트(겉으로 보이는 부분), 네일 베드(손톱 아래 피부), 큐티클(손톱 뿌리 보호층), 매트릭스(손톱을 자라게 하는 부분) 등으로 구성된다. 손톱이 계속 자라는 이유는 매트릭스에서 새로운 세포가 생성되면서 밀려나기 때문이며, 이는 손끝을 보호하고 정교한 작업을 돕기 위한 기능적 진화의 결과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손톱은 우리 몸에서 각질을 만드는 세포에 의해서 만들어지게 됩니다. 손톱을 만들게 되는 세포는 분열이 되고 세포의 내부에 세포 원형질이 빠지게 되면서 바깥에는 껍질만 남게 되는데 이 껍질이 각질을 이루면서 손톱을 만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