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

물가가 높을 때 이율을 높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뉴스에서 보면 고물가 시대에 물가를 잡기 위해 이율을 높이는 정책을 내놓던데 물가와 이율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왜 물가를 잡기 위해 이율을 높이는지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젊은매미372
      젊은매미372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높다는 의미는 시중에 풀린 돈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이에대한 조치로 금리를 높인다는것은 금리가 높아 시중의 유통되는 통화를 은해에 예탁하는 쪽으로해서 줄이고 이를 통해 물가 안정을 기하기 위함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시장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저하되고 기업들의 생산비용이 상승하므로, 이는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에 따라 이율을 인상함으로써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이율을 높이면 금리가 상승하므로 소비자들과 기업들이 돈을 빌리기 어려워지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합니다. 이는 경제 전반에 걸쳐 수요가 감소하고 가격이 상승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를 높임으로써 시중의 돈을

      은행이 빨아들이게 되고 이로써

      시중의 돈이 줄어 물가의 상승을 제한시켜

      금리 인상이 물가를 잡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높다는 것은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공급 대비 수요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렇다 보니 공급을 늘리거나 수요를 줄여야 하는데 금리 인상은 수요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금리를 인상하면, 가계의 소비여력, 기업의 투자 등을 감소 시킴으로써 수요를 둔화 시키게 됩니다.
      이런 경기 침체 사이클이 만들어지면서 물가가 잡히게 됩니다.
      따라서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물가가 내려가는 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높으면 중앙은행은 물가를 안정화하기 위해 금리인상 정책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시중의 금리로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 떄문입니다.

      코로나 시기에 낮은 이율로 돈이 엄청나게 풀렸죠.

      그 돈이 자산가격을 상승시키고 물가도 상승시키고 했던 겁니다.

      이렇게 한 이유는 돈을 풀어서 경제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목표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한건데요.

      반대로 이제는 물가가 너무 많이 올라 그만 올라가게 하기 위해서 이율을 높여 시장에 있던 돈을 흡수하는 겁니다.

      그러면 시장에는 돈이 마르게 되고 다들 소비를 줄이며 저축을 많이 하겠죠.

      이렇게 되면 물가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수요와 공급곡선에 의해 균형점을 찾아가게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높을 때 이율을 높이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경제 현상으로, 통화량이 많아지거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깨지면 발생합니다.

      이율을 높이면 대출금리가 오르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대출을 줄이고 저축을 늘리게 되어 수요가 감소하고 물가 상승률이 낮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것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원인이 되는 화폐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대출이자비용 부담 증가로 인해서 대출수요가 감소하게 되고 예금수요가 증가하게 되면서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 유동성이 감소하게 되면서 인플레이션이 억제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높은 경우에는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