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다른 나라와 다르게 국내 조선업이 부산쪽에 모두 집중되어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다르게 국내 조선업을 보게 되면 부산이라든지 거제도쪽이라든지 매우 가까이 집중되어있는데요 그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선박을 하려면 우선 바다와 접해 있어야 하는데 서해쪽은 조수 간만의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배를 건조하기 적합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동해나 남해 쪽인데 인프라를 빠르게 수급할 수 있는 거대 항구가 있는 부산이
가장 적합한 곳으로 뽑히고 그 위로 경상도 쪽이 조선관련 산업이 크게 발달 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산, 거제는 항만 접근성, 숙련 노동력, 대형 조선소 인프라가 집적된 곳입니다. 한국은 조선업이 1970년대부터 대형 조선소 위주로 성장하며 해당 지역에 집중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조선업이 남해에 집중되어 있는 이유는 남해가 조수간만의 차이가 적고 해외수주시 쉽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다른 나라도 동일합니다. 해안에 인접한 일부 특정 지역에서만 조선업 산업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해운산업이 가장 활발할 수 밖에 없는 지리적이고 산업 특성적 측면 때문에 부산에 집중되어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조선업이 부산 쪽에 모두 집중된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다른 나라 역시 조선업은 항구 도시에 집중되어서 발달합니다.
부산이 한국의 가장 큰 항구 도시이기 때문에
조선업이 부산 쪽에서 발달하게 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선업이 배를 만드는거니 경남에 집중된건 당연히 지리적인 특성이 가장 클거라 생각합니다
넓은 해안선으로 대형 선박을 만드는데 유리한 입지인거죠 또한 1970년대 우리나라 산업화 초기에 경남쪽을 밀어준게 큰 영향을 끼쳤을거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군사정권시절 정부가 인위적으로 거제도와 부산쪽으로 몰리게 한요소가 크며 그리고 기업도 이쪽이 좋을 수 밖에 없었던게 만형태로 움푹들어가있고 과거부터 이쪽이 해운물류업이 각종 생태계가 조성되어있었기 때문에 유리할 수 밖에 없었던것입니다 그러면서 국내는 지금처럼 거제도 부산쪽에서 각종 조선업과 해운업들의 생태계가 몰렸고 또 옆에 대형 철강사가 있으면서 각종 운송비라 자재라든지 매우 효율적으로 조성된 효과가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