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의 본딩커브 곡선이란게 정확히 뭘까요
차트의 본딩커브 곡선의 원리가 뭘까요
매수세와 매도세가 만들어내는 선이겠지만
그걸 토대로 계산을해서 매매에 활용하는건가요?
펌프펀에선 AMM이 돌아가기도 한다는데
자세한 원리를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본딩커브는 차트 선이 아니라 토큰 수량과 가격을 엮는 규칙입니다. 발행량이 늘면 미리 정한 함수대로 가격이 오르고 줄면 내려갑니다. 선형이나 지수형 같은 수식이 쓰입니다. 매수는 새 토큰을 찍어내며 곡선을 따라 위로 이동. 매도는 소각하며 아래로 이동. AMM의 상수곱도 같은 맥락으로 보입니다. 비용 계산은 곡선 아래 면적이라 초반이 싸고 뒤로 갈수록 비싸집니다. 유동성이 얇으면 슬리피지가 큽니다. 펌프펀류 초기 가격도 이 원리로 굴러갑니다. 설계가 곧 위험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본딩 커브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토큰의 가격과 공급량을 수학적으로 연결하여 자동으로 가격을 결정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즉, 사람이 아닌 미리 정해진 공식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 곡선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본딩 커브는 스마트 컨트랙트 내에 구현된 함수로 작동합니다. 이 함수의 핵심은 토큰의 유통량에 따라 가격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본딩 커브는 단순한 차트 선이 아니라,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을 자동 계산하는 수학적 공식이며, 투자자들은 이 곡선을 통해 가격 예측 및 매매 전략을 세우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차트의 본딩커브 곡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차트의 본딩커브란 특정 자산의 가격과 공급량 간의
함수적인 관계를 정의하는 수학적인 개념을 의미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본딩 커브는 토큰의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수학적 관계로, 매수(공급 증가) 시 가격이 오르고 매도(공급 감소) 시 가격이 내려가는 방식입니다. 미래 가격이나 유동성을 예측하는 간접적인 방법이고, AMM은 이 본딩 커브를 활용해서 가격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유동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펌프펀에선 초기에는 본딩 커브로 토큰을 판매하다가 특정 유동성 조건이 충족되면 기존 AMM으로 전환해서 거래를 이어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본딩커브는 매수세와 매도세가 만들어내는 선이 아니라, 미리 정의된 수학적 공식에 따라 가격이 자동으로 결정되는 메커니즘입니다. 미리 정의된 수학 공식에 따라 토큰 공급량이 가격을 자동 결정되는 구조이며 k x 토큰공급량 구조인데 K는 일종의 정해진 상수입니다.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가격이 결정이며 다소 복잡한 알고리즘 구조의 형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