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겨울에 빗을 사용하면 정전기가 더 잘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문득 겨울이 다가오니 궁금해 지는데 겨울철에 빗을 사용하면 다른 계절보다 정전기가 더 발생하는 것을 느낍니다. 이것도 과학적인 이유가 있을듯 한데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기운찬수달300
      기운찬수달300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는 말그대로 정지한 전기를 말합니다.

      특정 물체와 닿는 순간 머물러 있던 전기가 흐르면서 따끔하게 되는건데요.

      일반적으로 수분을 통해 전기가 빠져나가게 되는데, 몸에 수분이 부족하면 전기가 수분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해 정전기가 되는 것입니다.


      겨울의 경우 여름에 비해 공기중 습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빗질시 정전기가 많이 생깁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샴푸와 린스 후 트리트먼트를 사용해 모발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모발속으로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드라이기를 통해 머리를 너무 바싹 말리지 않도록 하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의 공기 중 습도와 관련됩니다.

      겨울이 아닌 평상시 발생된 정전기는 공기 중 수분을 통해 공기중으로 방출되지만, 겨울의 건조한 날씨에는 방출되지 못한 정전기가 쌓이게 되고 결국 크게 방전되며 우리가 느끼는 정전기가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란 말 그대로 흐르지 않고 모여 있는 전기를 말합니다. 물체가 마찰에 의해 외부의 힘을 받으면 전기적 성질을 띠게 되는데 이렇게 생긴 전기가 우리 몸에 머물러 있다가 전기가 통하는 물체가 손끝에 닿으려는 순간 방전되면서 순간적인 전기 충격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머리 빗이 금속이나 플라스틱일 경우 마찰력이 더 발생되기 떄문에 더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입니다.그래서 겨울철처럼 머릴를 빗을떄는 나무나 고무소재의 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머리를 빗거나 빗에 물이나 오일을 바르고 빗으면 정전기가 덜 발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