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영민한바다사자109
영민한바다사자109

친구와 다툰 후에 말을 하지 않는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초등학교 3학년 여자아이입니다. 아이가 친구와 다툰 후에 화가 나서 친구와 말을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친구와의 갈등에 대해 이야기하게 하여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주세요. 이후에는 친구와의 대화나 화해의 방법을 고민해보면 좋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친구가 다퉜다면

    아이 스스로 친구와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지만 아이에게 피드백 및 조언을 해주실 수 있어요.

    아이에게 싸움의 원인에 대한 배경을 물어봐주세요.

    아이가 싸움의 대한 원인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하면 아이와 친구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와 친구의 마음을 이해 하면서 아이의 이야기를 잘 경청해 주도록 하세요.

    아이의 이야기가 끝나면 아이와 친구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에 아이와 친구의 잘잘못을 짚어주고 왜 이러한 것들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더나아가 자신이 무엇을 잘못 했는지 알았다면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친구에게 먼저 미안해 라고 사과를 먼저 하는 것이 멋진 사람의 자세의 기본 이라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3학년 아이가 친구와 다툰 후 말을 하지 않으려고 할 때, 그 감정을 잘 이해하고 다룰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나이대의 아이들은 감정을 표현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부모나 보호자가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왜 화가 났는지, 어떤 부분이 힘들었는지 차분하게 물어보세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그 감정이 정당하다는 것을 인정해 주세요. 예를 들어, "친구랑 다툼이 있어서 속상했구나. 그 마음이 정말 힘들었겠구나."와 같이 말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이해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의 노력을 칭찬해 주세요. 만약 아이가 친구에게 먼저 말을 걸거나 화해하려고 하는 시도를 보였다면, 그 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격려해 주세요. "먼저 말을 걸어서 친구랑 화해하려고 했구나. 정말 용감했어!"라고 말해 주세요. 이 과정을 통해 아이는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고, 친구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것들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부디 아이가 친구와 다툰 후에도 말을 잘 할 수 있도록 부모님이 적극적으로 지도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다툰 뒤에 말을 하지 않으려는 건 비교적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다만, 그게 고착화되고 완전히 단절하고자 하는 거라면 그건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아요. 다시 친하게 지내지 않는 한이 있더라도, 어찌 됐건 다툼은 해결하는 게 중요합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선생님이나 보호자가 개입하게 되면 오히려 아이 스스로 이러한 인간 관계를 조절하는 독립심과 자율성을 떨어트릴 수 있기 때문에, 아이에게 어느 정도의 조언을 주되, 너무 개입하지는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꼭 먼저 사과할 필요는 없지만, 서로의 감정을 나누고 오해가 있다면 오해를 푸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말해주세요. 그리고 그 친구와 이야기하는 시간이나 자리를 마련하여 얘기를 나눌 수 있도록 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서로다투고하면서큽니다만

    너무심한경우라면부모가옆에서중재하고화해의장을만들어보시는것도좋아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다툼의 원인과 감정을 이해하도록 돕고 화해의 중요성을 설명하세요. 친구와 대화를 유도하며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