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2.24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는?

제가 학교 다닐 때에는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으로 배웠었거든요. 수금지화목토천해명으로 외웠었는데 최근 보니 명왕성이 빠졌더라구요.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에서 명왕성이 제외된 이유는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연합(IAU)에서 새로운 천체 분류 기준을 발표하면서 결정되었습니다.

    주변 공간을 자신의 중력으로 정리해야 한다. 이것은 행성 주위를 도는 다른 천체와 충돌하거나 흡수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명왕성은 위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제외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크기가 너무 작으며 이정도 크기의 왜소행성은 태양계 바깥쪽에 너무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불규칙한 타원형 궤도에 위성도 가지고 있지 않아 2006년 퇴출되어 현재는 태양계 행성으로는 8개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2006년에 국제천문연맹에서 행성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왜도 천체(dwarf planet)로 분류되었습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크기: 명왕성은 지구의 약 0.18배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태양계에서 발견된 8개 행성 중에서 가장 작은 행성 중 하나입니다.

    2. 태양 주변 궤도: 명왕성은 태양 주변을 공전하지만, 궤도가 태양 주변에서 가장 편평한 타원궤도(eccentricity) 중 하나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명왕성은 가끔씩 네이투네(Neptune) 행성과 궤도가 교차할 수도 있습니다.

    3. 지역 청소: 행성의 조건 중 하나는 지역 청소(Clearing the neighborhood)입니다. 이는 해당 천체의 궤도 주변을 돌고 있는 다른 천체들을 모두 청소하고, 자기 주변을 도는 천체의 질량이 충분히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명왕성의 경우 궤도 주변에 다른 천체들이 많이 존재하므로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행성과 위성의 관계는 행성과 위성의 무게중심이 행성 내부에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명왕성은 명왕성의 위성이라고 불리우던 카론과의 무게중심이 명왕성 바깥에 있었기 때문에

    행성지위를 박탈당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가장 큰 이유는 명왕성의 작은 크기와 궤도의 문제 때문입니다. 이는 2006년에 국제적인 합의이ㅔ 의해서 제외되었습니다. 다만 이는 인륙 ㅏ정의하는 구분에 의한 것일 뿐이지 명왕성 자체에는 변함이 없습ㄴ디ㅏ. 따라서 굳이 구분을 안하셔도 됩니다. ^^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전에는 명왕성도 행성으로 속해있었는데 특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해 제외되었습니다.

    얼마 이상의 질량 또는 부피의 기준이 있었는데 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1978년 카론 위성이 발견되면서부터 명왕성의 퇴출 이야기가 끊이지 않고 나왔다고 합니다. 카론 위성은 명왕성의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으로 명왕성의 절반 정도 크기였습니다. 이것을 위성으로 봐야 할지 천문학자들이 고민하게 만들었습니다. 게다가 실제 카론이 없으면 명왕성이 현재의 공전궤도를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을 야기시켰습니다.

    1990년대 이후부터 태양계 외곽에서 작은 천체들이 잇따라 발견되었고 그에 따라 그들을 모두 행성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행성에 대한 정의를 새로 내릴 필요가 있었습니다. 당시 국제천문연맹이 내린 정의는 아래 3가지를 모두 만족시켜야 했습니다.

    1. 행성은 항성(태양계에서는 태양)의 주위를 돌지만 다른 행성의 주위를 돌지 않는다.

    2. 완전한 둥근 모양을 갖출만큼 질량이 크지만 내부에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만큼 질량이 크진 않다.

    3. 자신의 공전 궤도에서 지배적이어야 한다.

    태양계 안에서 행성의 정의에는 속하지 못해도 소행성보다는 행성에 가까운 천체들은 왜행성이라고 하는데 2005년 명왕성과 비슷한 궤도에서 명왕성보다 1.3배 가량 큰 왜행성 에리스가 발견되었고, 명왕성이 다른 행성들과 달리 타원으로 태양을 돌고 크게 기울어져서 돌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이 가속화 되었습니다. 그리고, 명왕성의 공전궤도가 불규칙했었다고 합니다.

    과학자 브라운 교수는 13개의 얼음 물체들을 연구하던 중 여섯개의 물체가 태양을 일정한 궤도로 돌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명왕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면서 명왕성의 태양계에서 퇴출이 확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에리스와 명왕성은 소행성과 행성의 중간 형태인 왜행성 범주로 분류하게 되었고 명칭도 플루토이드로 변경되었습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행성으로는 크기가 작았고 공전궤도가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태양계에서 퇴출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2006년 국제천문연합회(IAU)에서는 명왕성을 포함한 천체들을 분류하는 기준을 제정하였습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행성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1.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어야 합니다.

    2. 충분히 큰 질량을 가지고 있어서 자기 중력으로 둥글게 모양을 유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3. 그 궤도 주변을 정리하고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합니다.

    하지만 명왕성은 조건 중 3번째를 만족하지 못합니다. 명왕성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주변 천체들의 궤도를 정리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IAU에서는 명왕성을 "왜행성 천체(dwarf planet)"로 분류하였습니다. 이는 명왕성을 비롯한 일부 천체들을 행성이 아닌 별도의 분류로 구분하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최초에 발견된 1930년대 지구 정도의 크기로 알려졌으나 달보다도 작아 명왕성의 질량과 중력은 행성이라 보기엔 너무 작고 공전 궤도 또한 심한 타원형으로 찌그러져 있어 해왕성의 궤도 안쪽까지 침범하기도 했습니다

    2005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마이크 브라운 교수가 명왕성보다 큰 천체 UB313(에리스)을 발견하면서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계속 유지한다면 에리스도 열 번째 행성으로 지명되어야 한다는 논란이 생겼습니다

    국제천문연맹은 태양계 행성의 자격을 태양의 주위를 돌아야 하고, 충분한 질량을 가져 자체 중력으로 타원이 아닌 구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천체이어야 한다고 새로 규정했고 2006년 8월 24일 명왕성은 태양 주위를 돌고 구형인 천체지만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천체여서 태양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는 "국제천문학연맹(IAU)"이 2006년 8월에 채택한 새로운 행성 정의에 따라서 입니다. 이전에는 명왕성도 행성으로 분류되었지만, 새로운 정의에서는 행성으로 분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기존의 행성 정의에서는 행성이라는 것은 다음의 조건들을 만족해야 했습니다.

    1. 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여야 한다.

    2. 충분히 질량이 있어서 자신의 형태가 구 형태를 이룬다.

    3. 자기 주변의 공간을 자기의 중력으로 정리해 내었어야 한다.

    하지만 이전의 조건만으로는 명확한 행성을 정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IAU에서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정의를 제시했습니다.

    1. 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여야 한다.

    2. 충분히 질량이 있어서 자신의 형태가 구 형태를 이룬다.

    3. 자기 주변의 공간을 자기의 중력으로 정리해 내었어야 한다.

    4. 근처의 궤도를 지배하지 않아야 한다.

    명왕성은 이 새로운 정의에서 네 번째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명왕성은 해외에 다른 천체들과 함께 돌고 있고, 그 중 일부 천체들이 명왕성의 궤도를 가로지르기 때문에, 명왕성의 주변 공간을 정리해내지 못합니다. 따라서, 명왕성은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았고, 이후 "왜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 행성에 포함되려면 태양계 주변을 일정한 궤도에 따라 움직여야 합니다.

    그런데 명왕성은 자세히 봤더니 그 궤도를 계속 조금씩 이탈함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래서 태양계의 행성에서는 나오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