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고려는 왜 문무관이 명확히 왜 구별이 안된건가요
고려의 귀족 사대부를 보면 문관이나 무관이 명확하게 구별된게 아니며 문무를 둘다 배우고 문무관이 흐릿했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고려시대는 왜 문무관이 명확하게 구별을 안했던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고려시대 문무관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이유는 우선 고려 초 문무관 구분없이 동일한 품계를 적용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향직 품계는 문무관 모두에게 적용되었습니다.
그리고 문산계와 무산계는 도입되었지만 실제로 무산계가 무관에 적용되지 않은 것도 이유입니다. 특히 문무관의 역할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 구분을 모호하게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문관인 강감찬이 상원수에 임명된 것이 그 사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고려에서는 총사령관의 자리에는 항상 문관이 임명되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총사령관의 임무는 직접 싸우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냉철하게 지시를 내려야 위치였기에 상대적으로 차분한 문관이 유리하다 판단한 것 같습니다.
유교주의에 입각한 조선에서는 문무양반이 철저히 분리되었지만 고려에서는 삼국시대에 이어 신라말기 열국시대를 거쳐 세워진 국가여서 그런지 문관들도 무를 익히는데에 거부감이나 거리낌이 없었습니다. 사실 이러한 국풍은 조선초기까지도 유지가 되었습니다. 군사적 활약이 대단했던 태종 이방원만 하더라도 고려의 과거에 급제했던 이력이 있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