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수준과 단계를 구분하는 카르다쇼프 한계의 기준과 의의는 무엇이죠?
문명이라는 것은
인간이 집단적으로 구축한
고도의 조직과 발전을 이룬 상태의 사회를 의미하는데
국가의 발전과 사회계층화
도시화
문자 등의 의사소통 상징적 시스템 구비
농업, 건축, 기술 발전 , 노동의 전문화
중앙정부의 복합적인 구조 등
이런 조건들이 부합되어 고도로 발전된 상태라는것이 일반적인 문명의 정의라 할 수 있겠는데요..
우주적 관점에서 본다면
먼지와 같은 지구의 기준으로 판단하기는 힘들것같은데요.
그런 관점에서
소련의 천문학자 니콜라이 카르다쇼프가 제안한 카르다쇼프 한계로
우주적 관점에서 행성의 문명수준을 구분하는 방법이 나온걸로 알 고있습니다.
그럼
그런관점에서의
카르다쇼프한계의 기준은 어떻게 되며
이 카르다쇼프 척도가 가지는 의의는 무엇이라고 받아들 일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카르다쇼프의 척도란 문명의 수준이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크게 3가지로 나누었따고 하지요. I형 문형은 자신의 행성 전체 에너지를 사용하며, II형 문명은 자신의 항성 전체 에너지를 사용한다고 하지요. III형 문명은 자신의 은하 전체 에너지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러한것들을 바탕으로 칼세이건은 현재 인류가 대략 0.72~0.75형 문명 수준으로 존재한다고 이야기 합니다. ㅐ양에너지, 원자력, 풍력 등의 에너지를 활용하지만 지구 전체의 에너지의 극히 일부만 통제하여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카르다쇼프 척도의 의의란 지구 중심적 시각을 벗어난 우주적 문명 개념을 제시하였고, 인류의 발전이 어디까지 이룩할 수 있을지 상상하게 만들어주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