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아이스맨천사
아이스맨천사23.01.27

강아지들은 이렇게 추운 날 길바닥이나 눈밭에서 왜 발바닥이 차가움을 못 느낄까요?

나이
15년
성별
수컷
몸무게
3
반려동물 종류
강아지
품종
몰티즈
중성화 수술
1회

항상 궁금하던 건데요

강아지나 고양이들은 추운 날 길이나 눈밭등에서 추위도 못 느끼는 것처럼 매우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보게 되는데 혹시 추위를 느끼는 부위가 다른 것인지 왜 그런 건지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예찬 수의사입니다.

    강아지도 당연히 생명이기 때문에 추위를 느낍니다. 특히 겨울이나 추울 때는 발바닥의 혈관을 수축시켜 최대한 열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하는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이렇게 막 돌아다니고 그러는 이유는 이런 환경이 처음이어서 그렇습니다. 이런 행동은 사람에서도 보입니다. 예전 호주에서 살던 조카가 처음으로 한국에 왔을 때 하늘에서 눈이 내리는 것 보고 매우 당황했다고 합니다.

    사람은 그런 행동을 조절하고 통제가 가능한데 강아지는 본능적으로 움직이는 동물이다보니 당황하고 신기해서 이렇게 방방 뛰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차가움을 느끼지만 동상까지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혈관 얼기 구조를 가지고 있고 성분또한 사람의 발과 다를 뿐입니다.

    물론 더 추운 환경이라면 개나 고양이도 발에 동상이 생기니 실험은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아 수의사입니다.

    강아지들은 사람과 다르게 맨발로 추운 바닥에서 걸어도 어느정도 견딜 수 있습니다. 이렇게 차가운 바닥에서 걸어도 어느정도 발바닥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특징적인 발바닥 순환계 때문입니다. 강아지의 발 부위는 다른 부위의 순환계와 다르게 정맥과 동맥이 가까이 붙어있어 따뜻한 동맥의 열을 차가운 정맥에 전달해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바닥의 온도가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해줄 수 있는 것이죠. 이로 인해 눈 위에서 맨발로 걸을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시베리안 허스키, 사모예드와 같이 추운 지역에서 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강아지들은 추운 바닥을 장기간 견디기는 힘듭니다. 발피부 동상, 저체온증 등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철 오랜시간 산책할 경우 신발을 신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