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엉뚱한두루미2025
엉뚱한두루미2025

드라이아이스를 물에넣으면 연기는왜나는건가요?

드라이아이스를 호기심에 물에넣었는데 천천히 연기가생기고 연기도많이발생되던데 왜그런건가요? 터지지않고 연기가생기는게 맞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었을 때 연기처럼 보이는 현상은 이산화탄소 가스와 물의 수증기가 혼합된 안개 형태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CO₂)로, 보통의 얼음과는 달리 녹으면서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가스 상태로 변하는 '승화' 현상을 보입니다.
    물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으면 드라이아이스의 표면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주변의 물을 급속하게 냉각시킵니다. 이 때 드라이아이스는 승화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방출하게 되며, 이 가스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과 접촉하면서 물의 표면 근처에 있는 물이 부분적으로 증발합니다.
    이산화탄소 가스와 증발한 물이 혼합되면서 주변의 차가운 공기와 만나 물방울이 응축되어 안개 형태로 보이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안개는 시각적으로 연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타지 않고,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것이 아니라 이산화탄소와 물의 자연스러운 반응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원래 기체인 물질을 고안 저온에서 고체화 한것입니다.

    따라서 자연적으로도 기화를 하게 되는데 물에 넣게 되면 기화 되는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것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었을 때 발생하는 흰 연기는 화학 반응이 아닌 물리적 현상으로, 드라이아이스(고체 이산화탄소)가 물과 접촉하면서 승화(고체에서 기체로 바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나타납니다.

    드라이아이스는 매우 낮은 온도(-78.5℃)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합니다. 물과 만나면 열을 흡수하며 빠르게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CO₂)로 변합니다.

    승화로 인해 주변 공기가 급격히 냉각되면서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작은 물방울(미세한 액체 입자)을 형성합니다. 이 물방울이 흰 연기로 보이는 것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밀폐된 공간에서 부피가 급격히 팽창할 수 있으므로, 터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하지만 물에 넣는 행위 자체는 연기를 발생시키며 안전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